엔비디아는 2025년 GTC에서 AI 기술의 미래를 주도할 여러 혁신적인 발표를 했습니다. 구글과의 협력을 강화하며 AI 연구와 실생활 적용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 글에서 이번 컨퍼런스에서 젠슨 황이 발표한 내용과 국내에서 기대했던 삼성전자 언급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엔비디아 2025년 GTC 차세대 AI 인프라 발표

젠슨 황은 이번 GTC (Global Technology Conference) 에서 Blackwell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NVIDIA GB300 NVL72와 NVIDIA RTX PRO 6000 Blackwell Server Edition을 선보였습니다.

엔비디아 2025년 GTC 젠슨 황
  • GB300 NVL72: 기존 NVIDIA GB200 NVL72보다 1.5배 더 높은 AI 성능을 제공하며, 대규모 AI 모델 훈련 및 추론에 최적화된 솔루션입니다.
  • RTX PRO 6000 Blackwell: 의료, 제조, 방송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성능 GPU로, 실시간 AI 처리와 비주얼 컴퓨팅에 강력한 성능을 발휘합니다.
  • Google Cloud와 협력 강화: Google Cloud는 엔비디아의 최신 GPU를 가장 먼저 도입하는 기업 중 하나로, AI 연구와 대규모 데이터 처리를 위한 최첨단 인프라를 제공합니다.

엔비디아 구글 협력 확대

엔비디아는 Google DeepMind와의 협력을 통해 AI 기술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 2025년 GTC 젠슨 황
  • SynthID 도입: 엔비디아는 Google DeepMind의 SynthID 기술을 채택한 첫 번째 파트너로, AI로 생성된 이미지·텍스트·오디오·비디오에 디지털 워터마크를 삽입합니다. 이를 통해 콘텐츠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고 가짜 정보 확산을 방지합니다.
  • Gemma 최적화: Google의 최신 경량 AI 모델인 Gemma를 엔비디아 GPU에서 더 빠르게 실행할 수 있도록 최적화했습니다.
  • Gemma 3의 출시: 오픈소스 기반 AI 혁신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더 많은 개발자와 기업이 고성능 AI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로봇 공학과 시뮬레이션 혁신

엔비디아는 로봇 공학에서도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엔비디아 2025년 GTC 젠슨 황과 로봇
  • SynthID과의 협력: 구글의 자회사인 Intrinsic과 함께 NVIDIA Isaac™ Manipulator 기반 모델을 활용해 로봇 파악 기능을 개발했습니다. 이를 통해 로봇이 더 정밀하게 작업을 수행하고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Newton 물리 엔진 개발: Disney Research와 협력해 NVIDIA Warp 프레임워크 기반의 오픈소스 물리 엔진인 Newton을 발표했습니다. 기존보다 70배 빠른 로봇 기계 학습이 가능해졌습니다.
  • 로봇 개발 시간 단축 및 유연성 향상: Intrinsic Flowstate와 NVIDIA Omniverse 간의 실시간 스트리밍 연결을 통해 로봇 작업을 실시간으로 시각화하고, 로봇의 움직임을 더 빠르게 시뮬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의료 및 에너지 혁신

엔비디아는 AI 기술을 통해 의료와 에너지 분야에서도 변화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 Isomorphic Labs와의 협력: Google DeepMind에서 설립한 Isomorphic Labs와 함께 AI 기반 약물 발견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NVIDIA의 GPU는 대규모 데이터를 빠르게 분석해 새로운 약물 후보물질을 찾아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Tapestry 프로젝트: Google의 X팀과 협력해 AI 기반 전력망 최적화를 추진합니다. 전력망 시뮬레이션의 속도와 정확도를 높여 더 안정적이고 친환경적인 에너지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책임 있는 AI와 개방형 모델 개발

엔비디아는 책임 있는 AI 개발을 위해 Google과 함께 AI 생성 콘텐츠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AI 접근성을 확대하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 AI 생성 콘텐츠 투명성 강화: SynthID 기술로 AI가 만든 콘텐츠에 디지털 워터마크를 삽입해 정보의 출처를 확인하고 잘못된 정보를 방지합니다.
  • 개방형 AI 접근성 확대: Gemma와 같은 개방형 모델을 최적화해 더 많은 개발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삼성전자 언급은?

  • 다만 국내 투자자들은 이번 로드맵 공개에도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 이번 GTC 2025 기조연설에서 삼성전자의 HBM(고대역폭 메모리) 납품 상황과 관련해 엔비디아 측의 추가 언급이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컸기 때문입니다.
  • 그러나 엔비디아는 최신 기술과 발전에 대해서만 이야기했을 뿐, 삼성전자를 비롯한 반도체 기업들에 대한 언급은 하지 않았습니다.
  • 현재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의 품질(퀄리티)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한 탓에 HBM3E 8단과 12단 제품1년 넘게 공급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반면, SK하이닉스는 지난해 4분기부터 HBM3E 12단 제품을 엔비디아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 특히 SK하이닉스는 이르면 올해 하반기부터 HBM4 양산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삼성전자는 HBM4 개발을 올해 말까지 완료하고 내년에 엔비디아에 공급한다는 방침입니다.

젠슨 황 삼성전자에 서명

✅GTC 2025 삼성전자 발언 정정

  • 황 CEO의 이번 행보는 GTC 2025에서 있었던 발언 논란을 의식한 것으로 보입니다.
  • 당시 기자간담회에서 “RTX 5090에 마이크론 메모리를 탑재한 특별한 이유가 있느냐”는 질문에 황 CEO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그래픽 메모리를 생산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언급해 논란이 되었습니다.
  • 이에 엔비디아는 다음 날 바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모두 GDDR 메모리를 제조하고 있다”는 공식 성명을 발표하며 발언을 정정했습니다.
  • 황 CEO의 이번 삼성전자 GDDR7 메모리 서명은 해당 논란을 수습하고 삼성과의 협력을 강조하기 위한 의도로 해석됩니다.

✅황 CEO, GTC 2025에서 삼성전자 부스 방문

  • 엔비디아의 황 CEO는 GTC 2025 행사에서 삼성전자 부스를 방문해 이목을 끌었습니다.
  • 그는 삼성전자의 최신 그래픽 메모리 제품인 GDDR7에 서명을 남겼습니다.
  • 지난해 삼성전자의 5세대 고대역폭 메모리(HBM3E)에 ‘젠슨이 승인했다(Jensen Approved)’라고 적었던 것과는 차별화된 모습이었습니다.
  • 황 CEO는 GDDR7 메모리에 “삼성(SAMSUNG)”이라는 문구와 함께 “GDDR7 최고!(GDDR7 Rocks!)”, “RTX는 계속된다(RTX ON!)”라고 적으며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했습니다. GDDR7 메모리는 엔비디아의 차세대 게임용 그래픽카드인 ‘지포스 RTX 5090’에 탑재된 핵심 부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HBM4 부스는 방문하지 않다

  • 눈에 띄는 점은 황 CEO가 삼성전자가 전시한 차세대 고대역폭 메모리 HBM4 부스는 찾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 최근 HBM(High Bandwidth Memory)은 인공지능(AI) 및 데이터센터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황 CEO의 행보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 엔비디아는 마이크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주요 메모리 제조사와 협력하며 차세대 그래픽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특히 GDDR7 메모리를 통해 향후 지포스 RTX 시리즈의 성능을 한층 더 강화할 전망입니다.

엔비디아 2025년 GTC 발표의 의미

이번 GTC에서 엔비디아는 AI의 미래를 주도하기 위한 중요한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핵심 내용 요약

  • 차세대 AI 인프라: NVIDIA GB300 NVL72, RTX PRO 6000 Blackwell GPU 발표
  • Alphabet과의 협력 강화: Google DeepMind의 SynthID 채택, Gemma AI 모델 최적화
  • 로봇 공학 혁신: Intrinsic과 로봇 파악 기능 강화, Newton 물리 엔진 발표
  • 의료 및 에너지 혁신: AI 기반 약물 발견, 전력망 최적화 프로젝트 추진
  • 책임 있는 AI 개발: 콘텐츠 투명성 확보 및 개방형 AI 접근성 확대

GTC 발표 후 엔비디아 주가

엔비디아의 2025년 GTC(GPU Technology Conference) 발표는 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발표 직후 주가는 약 3% 하락하였으며, 이는 시장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 발표 내용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

엔비디아 2025년 GTC 발표후 주가 챠트

✅GTC 2025 발표 내용과 시장 반응

이번 GTC 2025에서 엔비디아는 차세대 AI 칩인 ‘블랙웰 울트라’를 공개하며, 기존 모델 대비 50%의 성능 향상을 약속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발표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예상된 수준의 발표로 인식하여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했습니다. ​발표 내용의 예측 가능성과 경쟁사의 부상 등이 주가 하락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의 영향

또한, 중국의 AI 스타트업인 딥시크(DeepSeek)가 저비용 고성능 모델을 공개하며 엔비디아의 GPU 수요 감소 우려를 불러일으켰습니다. 이로 인해 엔비디아 주가는 하루 만에 17% 폭락하는 등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

✅전문가 의견과 전망

  • 일부 전문가들은 엔비디아의 빠른 제품 개발 주기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매수 등급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그러나 AI 관련 주식의 전반적인 가치 하락과 잠재적인 관세 문제 등으로 인해 주가 전망에 신중한 입장을 취하는 전문가들도 있습니다. ​

마무리

엔비디아의 2025년 GTC 발표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번 컨퍼런스를 보면서 느낀점은 엔비디아는 앞으로도 AI 기술의 혁신을 주도하며 다양한 산업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갈 것입니다.

Simi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