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아연은 주로 아연과 연의 생산 및 판매를 주업종으로 하는 기업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기업에 개요와 제품, 재무정보에 관한 분석을 해보고, 주가흐름과 최근 주가변동에 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투자를 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해 미래 전망에 대해서도 예측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고려아연 기업 개요
고려아연은 1974년에 설립된 비철금속 제련회사로, 주로 아연과 연의 생산 및 판매를 주업종으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금, 은, 동, 황산 등도 아연과 연의 제련과정에서 회수하여 생산하고 있습니다. 코스피 200에 포함된 주요 비철금속 제련 회사입니다. 이 회사는 철강재의 보호피막으로 사용되는 아연과 납을 중심으로 18종의 비철금속을 연간 약 100만 톤 생산하고 있으며, 영풍그룹의 핵심 계열사로서 국내 시장에서 약 9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기업정보
- 본사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33 (청진동)
- 설립일: 1974/08/01 (상장일: 1990/07/28)
- 대표이사: 박기덕, 정태웅
- 계열: 영풍그룹
- 발행 주식수(보통/우선): 20,703,283 주
최근 경영진 변동
- 2024년 03월19일: 황덕남(사외이사), 정태웅(사내이사), 김우주(기타비 상무이사)
- 2024년 03월19일: 성용락(사외이사), 김도현(사외이사), 이민호(사외이사), 최윤범(사내이사), 장형진(기타비 상무이사) 재선임, 박기원 사임
기업 연혁
1. 창업기(1974년~1990년)
- 1974.08 고려아연㈜ 설립
- 1978.04 아연 제련공장 준공(아연괴 연산 5만톤 규모)
- 1982.01 동 공장 준공
- 1982.12 기술연구소 설립
- 1986.06 연 정련공장 준공(연산 3만 5천톤 규모)
- 1987.05 아연괴 연산 17만톤 규모 체제 구축
- 1987.05 코리아니켈(주) 설립
- 1988.12 아연괴 LME 등록
- 1990.07 증권거래소 상장
2. 성장기(1991년~1999년)
- 1991.12 온산제련소 전용부두 준공
- 1992.05 DRS 연제련 공장 준공(연산 13만 5천톤 규모 체제 구축)
- 1992.05 Slag Fumer 공장 준공
- 1993.05 열병합발전소 준공(전기 43,500Kw, 스팀 175톤/hr 규모)
- 1994.10 Direct Leaching 공장 준공
- 1995.07 No.1 온산 Fumer 준공
- 1996.06 호주 Sun Metals Corp 설립
- 1999.08 Direct Leaching 공장 증설
- 1999.11 ‘5억불 수출의 탑’ 수상
3. 글로벌 도약기(2000년~2009년)
- 2000.07 TSL 공장 준공
- 2001.01 London Bullion Market Association에 금 Brand 등록
- 2000.09 과학기술부로부터 국산신기술(KT)인증 획득
- 2000.11 ‘7억불 수출의 탑’ 수상
- 2000.12 Sulfur Burning 공장 준공
- 2000.12 TSL 공법(Lead Fumer Dust 처리) 공장 준공
- 2001.01 London Bullion Market Association에 은 Brand 등록
- 2001.06 ISO 9001인증 획득(LRQA)
- 2002.09 환경부로부터 ‘환경신기술’ 인증 획득
- 2002.10 환경부로부터 콘크리트용 연슬래그 KS규격 인증 획득
- 2002.10 TSL 공법(QSL Slag 처리) 공장 준공
- 2002.12 산업자원부에서 아연괴 세계일류상품 인증 획득
- 2003.03 No.2 온산 Fumer 공장 준공
- 2004.09 기술부문 2004 녹색경영대상 수상(한국능률협회)
- 2004.10 동 공장 연산 20,000톤으로 증설
- 2004.12 인듐 공장 준공
- 2005.11 제42회 무역의 날 ‘8억불 수출탑’ 수상
- 2006.12 제43회 무역의 날 ’10억불 수출탑’ 수상
- 2007.07 No.3 온산 Fumer 공장 준공
- 2009.03 금탑산업훈장 수상
- 2009.12 No.4 온산 Fumer 공장 준공
4. 글로벌 성장기(2010년~현재 2024년까지)
- 2010.02 #8. 아연 전해공장 준공
- 2010.12 #2. TSL 공장 준공
- 2011.02 연정련 및 귀금속공장 준공
- 2011.12 제48회 무역의 날 ’20억불 수출탑’ 수상
- 2012.12 No.5 온산 Fumer 공장 준공
- 2013.12 30억불 수출의 탑 수상
- 2014.10 #9. 아연 전해공장 준공
- 2015.12 제2비철단지 준공
- 2016.08 스틸싸이클 주식회사 인수 설립
- 2016.12 Townsville Logistics 설립
- 2017.04 징크옥사이드코퍼레이션 베트남 설립
- 2018.01 #10. 아연전해공장 준공
- 2018.02 Energy Saving System 구축
- 2018.04 Townsville Marine Logistics 설립
- 2019.11 아연 조액공정 합리화 설비투자
- 2020.03 케이잼㈜ 설립
- 2021.01 아크 에너지 설립
- 2021.09 LNG 복합화력발전소 준공
- 2022.03 페달포인트홀딩스 설립
- 2023.05 에퓨론 인수
- 2022.07 IGNEO 인수
- 2022.09 스틸싸이클에스씨 주식회사 인수
재무 현황(2020년~2024년 6월까지)
2020년
- 매출액: 8조 1,000억 원
- 영업이익: 1조 3,000억 원
- 당기순이익: 9,500억 원
- 매출: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글로벌 금속 수요가 감소했으나, 비교적 안정적인 매출을 기록.
- 순이익: 금속 가격 상승으로 인해 양호한 실적을 달성.
- 자산: 자산 규모는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일부 투자가 이루어짐.
- 부채: 부채비율은 적정 수준을 유지하며, 금융 안정성이 높음.
2021년
- 매출액: 8조 5,000억 원
- 영업이익: 1조 4,000억 원
- 당기순이익: 1조 원
- 매출: 금속 가격의 회복과 함께 매출이 증가.
- 순이익: 금속 가격 상승과 생산 효율 개선으로 순이익이 크게 증가.
- 자산: 자산 증가, 특히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이 확대됨.
- 부채: 부채비율이 소폭 증가하였으나 여전히 안정적.
2022년
- 매출액: 9조 원
- 영업이익: 1조 5,000억 원
- 당기순이익: 1조 1,000억 원
- 매출: 글로벌 경제 회복과 금속 수요 증가로 매출이 더욱 증가.
- 순이익: 높은 매출에 힘입어 순이익 또한 증가세.
- 자산: 신규 프로젝트 투자 등으로 자산 규모가 크게 확대됨.
- 부채: 투자에 따른 부채 증가, 그러나 안정적인 재무 구조 유지.
2023년
- 매출액: 9조 5,000억 원
- 영업이익: 1조 6,000억 원
- 당기순이익: 1조 2,000억 원
- 매출: 금속 가격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매출이 다소 감소.
- 순이익: 매출 감소에 따른 영향으로 순이익이 줄어들 가능성 있음.
- 자산: 지속적인 투자가 이루어져 자산 규모는 계속해서 성장.
- 부채: 부채비율은 증가하나, 재무 안정성은 여전히 양호.
2024년 6월 기준
- 매출액: 5조 4335억 원
- 영업이익: 4532억 원
- 당기순이익: 2878억 원
- 매출: 금속 가격 및 수요 회복세에 따라 매출 반등 예상.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8.7%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50.3% 증가함. 당기순이익도 8.9% 증가하여 긍정적인 실적.
- 순이익: 매출 증가에 따라 순이익 회복 기대.
- 자산: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투자로 자산은 계속 확대될 가능성.
- 부채: 투자에 따른 부채 증가 가능성 있으나, 관리가 잘 이루어질 경우 안정성 유지.

주요 생산 제품
기초금속
1. 아연(Zinc)
- 고순도아연괴: 런던 금속 거래소(LME)에 등록되어 있는 SHG Zinc Slab은
- 세계 최고 기술력을 바탕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그 품질의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응용아연도금, 아연판, 전기아연도금, 방식아연도금, 사진조판용, 아연볼, 산화아연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 합금점보아연괴: umbo Block 형태로 생산하고 있으며, 고객의 요구에 따라 다채로운 금속 성분을 첨가하거나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합니다. 철재판재류 용융아연도금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양극아연괴: 전기 도금용 Anode로 형상화한 제품입니다. 전기아연도금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D/C아연괴: 자동차, 장난감, 레저용품, 산업용 기계 및 자재, 정밀기계, 전기장치, 생활용품(수도꼭지, 버클, 지퍼), 통신장비, 방산부품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2. 연(Lead)
- 연괴: Pb 99.99% 이상의 고품위 Lead Ingot로 최고의 기술력과 자체 품질관리를 통해 생산하고 있으며, 배터리 연분, 전선 피복용, 광명단 리사지, 땜납, 방사선 치매제, 통신장비 등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 합금연괴: 고객의 요구에 따라 주문생산하고 있는 Lead Alloy Ingot는 배터리 극판, 연결단자, 방사선 치매제, 활자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특히 연은 재활용이 용이하기 때문에 폐배터리를 이용한 재생연 생산량의 증대가 예상되며,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강화로 공해방지 설비에 대한 투자가 절실히 요구되나 연제련시설이 DRS공법을 사용한 최신시설로 환경오염 방지에 역점을 두었으므로 큰 문제가 없다고 발표하였습니다.
3. 동(구리;Copper)
최근에 독창적으로 개발한 KCP(Korea Zinc Copper Process)공법을 적용하여 생산되는 전기동은 순도 99.9935% 이상의 품질로 연성이 좋아 박판 또는 가는 선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기계부품, 건축용 자재, 전선 등 산업전반에 걸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귀금속
1. 금(Gold)
순도 99.99% 이상의 1kg 단위 바가 생산되고 있으며, 주로 보석류, 전기도금제품, 치과치료용, 반도체, BONDING WIRE, 산업용 골드와이어. 보석류, 만년필, 시계, 메달, 배지등에 사용됩니다.
2. 은(Silver)
은 그래뉼과 인고트타입은 국제적으로 공인된 기관인 영국 LBMA / 일본TOCOM / 미국COMEX 협회의 등록 Brand 로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태양광산업, 쥬얼리,
전기접점, 전기도금제품, 전도성 전자부품, 사진 인화용 필름과 같은 감광재료, 기념품, 은식기류, 보석류, 거울, 동전 등에 사용됩니다.
희소금속
1. 인듐(Indum)
In 99.999% 이상의 최고 품질의 인듐으로 5kg 단위 바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주로 ITO Target이며 Soldering 및 Bonding 등에 사용됩니다.
2. 비스무트(Bismuth)
저융정합금, 화장품, 의료용 소재, 촉매제, 도금첨가제 용도로 사용됩니다.
3. 안티모니(Antimony)
난연제와 납축전지 극판 등에 사용되고 있는 독성이 큰 준금속입니다. 난연제(주로 Sb2O3), 납 합금(납축전지극판, 탄환, 전력선 피복제, 내산성밸브). 주석 합금. PET 생산 촉매, 특수유리 제조, 안료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4. 기타희소금속
- 카드뮴: 순도 99.99% 이상의 품질로 주로 배터리, 안료, 금속도금, 플라스틱 안정제 및 가용 합금, 베어링 메탈 등의 합금 재료로 사용됩니다.
- 텔루륨: ‘지구’라는 뜻의 이름을 가진 희귀한 준금속 원소입니다. 구리, 강철, 납 합금제, 고무 경화제, 도자기의 붉은색과 청색 착색제, 자동차 부품, 태양전지(CdTe), 적외선 센서, X-선검출기. 합성섬유 생산 촉매로 사용됩니다.
- 코발트: 단단하고 광택이 나는 은회색 금속입니다. 합금으로서 중요하며, 고속도강·영구자석 등의 자성재료, 내열·내식강 등으로 사용됩니다. 비철합금으로서는 고온에서 내산화성· 내식성·내마모성·기계적 성질 등이 뛰어납니다. 화학반응에서 산화촉매로 사용되며 리튬전지(이차전지)와 유리·도자기 등의 청색 안료, 동위원소인 코발트 60 제조 등에 사용됩니다.
5. 기타제품: 황산(Sulfuric Acid_H2SO4)
황산은 강산성의 액체 화합물입니다. 농도가 높은 황산 (질량 퍼센트가 약 90% 이상)을 농황산 또는 진한 황산이라고 합니다. 생산되는 60% 정도가 초인산염, 인산 암모늄, 황산 암모늄과 같은 비료의 제조에, 그리고 나머지 20%는 정수, 알루미늄 환원, 산성화를 비롯하여 세제, 합성 수지, 염료, 제약, 석유 촉매, 살충제, 부동액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또 다른 주요 용도로는 황산 알루미늄 제조가 있는데, 이는 보크사이트를 황산으로 처리하여 만듭니다.
고려아연 주가
이 기업의 글로벌 도약기인 2020년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동을 겪었습니다. 이 시기의 주가 흐름을 연도별로 살펴보겠습니다.
2020년
초기 팬데믹 영향: COVID-19 사태 초기에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으로 인해 주가가 하락했습니다. 하지만 비철금속 수요가 증가하면서 하반기에는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약 400,000원에서 500,000원 사이에서 변동하였습니다.
2021년
회복 및 성장: COVID-19 사태 이후 경제 회복과 함께 비철금속 가격 상승으로 주가가 상승했습니다. 특히, 아연 가격의 급등이 상승의 영향을 미쳤습니다.
약 500,000원에서 600,000원 사이에서 변동하였습니다
2022년
안정적 성장: 글로벌 경제 회복과 함께 안정적으로 성장을 이어갔습니다. 또한, 회사의 다양한 귀금속 제련 사업이 수익성을 높이는 데 좋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약 550,000원에서 650,000원 사이에서 변동하였습니다.
2023년
영풍과 MBK파트너스 간의 경영권 분쟁이 주가에 크게 영향을 미쳤습니다. 공개매수 경쟁으로 인하여 주가가 급등하였습니다. 약 600,000원에서 750,000원 사이에서 변동하였습니다..
2024년 10월 현재까지
공개매수와 자사주 매입: MBK파트너스의 공개매수와 고려아연의 자사주 매입 계획으로 주가가 크게 변동하고 있습니다.
현재 주가는 약 776,000원(2024년 10월 4일 기준)이며, 최근 2일 장 중 저가 66만4000원에서 고가 74만원까지 11.4%를 오르내리며 심하게 요동을 치기도 했습니다.

1. 최근 주가급등과 공개매수
주가는 글로벌 비철금속 시장의 변동성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 경영권 분쟁으로 인해 주가가 급등하고 있으며, 최대주주인 장형진 영풍 고문의 주식 재산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이 분쟁은 영풍과 MBK파트너스 연합이 고려아연의 경영권을 두고 벌이는 공개매수 청약과 관련이 있습니다.
공개매수란 특정 기업의 주식을 대량으로 매입하기 위해 공개적으로 매수 의사를 밝히고, 주주들에게 일정한 가격으로 주식을 매도하도록 제안하는 방식입니다. 주로 경영권을 확보하기 위해 지분을 확대하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이 기업의 경우, 사모펀드 MBK파트너스가 경영권을 확보하기 위해 공개매수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고려아연 측도 자사주 매입을 통해 방어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주가가 급등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2. 경영권 분쟁 상황
MBK파트너스와 영풍 연합이 제시한 공개매수 조건이 이 기업의 제안에 비해 열세에 놓이면서 상황이 복잡해졌습니다. MBK, 영풍은 주식 6.98%를 주당 75만원에 매수하겠다고 제안했지만, 이는 이 기업이 제시한 조건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상황에서는 공개매수가 성공할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목표 물량을 확보하지 못하면 공개매수는 무산될 수 있기 때문에, MBK 측은 공개매수 가격 인상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이는 승리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보이나, 추가 자금 조달이 필요한 부담도 있습니다. MBK 측은 청약 상황을 지켜본 후 가격 인상을 결정할 것으로 보이며, 가격을 상향 조정하면 24년 10월10일의 추가 시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한편, MBK는 영풍의 공개매수 가격을 3만원으로 20% 인상했습니다. 이는 최윤범 회장 측의 대항 공개매수 가격과 동일한 수준입니다. 이로 인해 공개매수 대금은 2052억원으로 증가했고, 청약 마감일도 24년 10월 14일로 연장되었습니다.
영풍정밀은 이 기업의 지분 1.85%를 보유하고 있어, 현재 진행 중인 경영권 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지분은 의결권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영풍·MBK와 최회장 측 모두에게 중요한 승부처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영권 분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주가 전망
경영권 분쟁은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향후 주가 전망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재 상황을 바탕으로 몇 가지 주요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1. 경영권 분쟁의 결과
MBK파트너스와 영풍 연합: 이들이 경영권을 확보할 경우, 새로운 경영 전략과 구조조정이 예상되며, 이는 주가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방어 성공: 경영권을 방어할 경우, 기존 경영진의 안정적인 운영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주가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2. 공개매수 경쟁
공개매수 가격 인상: MBK측과 양쪽 모두 공개매수 가격을 인상하면서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이러한 경쟁이 지속될 경우, 단기적으로 주가가 더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공개매수 실패 시: 만약 공개매수가 실패하거나 경영권 분쟁이 장기화될 경우, 주가가 조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시장 반응 및 투자자 심리
투자자 신뢰: 경영권 분쟁이 해결되면 투자자들의 신뢰가 회복될 수 있으며, 이는 주가에도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변동성: 경영권 분쟁이 지속되는 동안 주가는 높은 변동성을 보일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단기 투자자들에게는 기회가 될 수 있지만, 장기 투자자들에게는 리스크 우려가 됩니다.
4. 외부 경제 요인
비철금속 시장: 아연 및 기타 비철금속의 가격 변동도 주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글로벌 경제 상황과 원자재 가격 변동을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합니다.
5. 종합 전망
주가는 경영권 분쟁의 결과와 공개매수 경쟁의 향방에 따라 큰 변동이 예상됩니다. 단기적으로는 주가의 급등과 변동성이 클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경영권 분쟁의 해결과 회사의 안정적인 운영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배당정책
주주친화정책의 일환으로 2023년부터 중간배당을 도입하여 연2회 (중간, 결산) 배당금을 지급하였습니다. 또한, 향후 10년간 총 4조원 이상의 금액을 주주에게 환원할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2023년~2025년 별도 당기순이익 기준 배당성향 30% 이상 유지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배당금
2021년에는 보통주 1주당 20,000원을 배당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5,000원 증가한 금액입니다. 그러나 2023년도에는 실적 악화로 주당 15,000원으로 2022년보다 다시 5,000원 감소하였습니다. 2024년에는 상반기 순이익의 71.4%에 해당하는 2055억원을 중간배당으로 지급했습니다. 이 금액은 1주당 1만원을 지급했다는 뜻입니다. 하반기 결산금액은 아직 미정된 상태입니다.

마치며
경영권 분쟁으로 최근 주가가 요동을 치고 있지만, 이번 경영권 결과에 따라 이 기업의 경영 운영 방침이나 주가가 어느 정도 변동은 있으리라 예측됩니다. 그러나 글로벌 비철금속으로 입지가 다져진 이 기업은 앞으로도 계속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고려아연 기업개요및 연혁, 재무재표 정보에 대해 분석하고, 주가 흐름과 현재 주가, 배당정책, 그리고 MBK와 영풍연합과의 경영권 분쟁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