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바이오 의약품 위탁개발 기업으로서 국내 1위 기업입니다. 이 글에서는 이 기업의 주요제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그 가치를 알 수있는 재무재표와 투자에 도움을 줄 수있는 주가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그리고 현재 이 기업의 현황과 목표, 앞으로의 전망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Samsung Biologics) 기업 개요

2011년에 설립된 대한민국 인천 송도에 본사를 둔 글로벌 바이오 의약품 위탁 개발 및 제조 기업입니다. 이 회사는 삼성 그룹의 바이오텍 부문으로, 단일 클론 항체, 이중 특이 항체, 항체-약물 접합체 및 mRNA 백신과 같은 다양한 바이오 의약품을 개발하고 제조하고 있습니다.
2012년에는 바이오젠 과 합작법인으로 바이오시밀러 의약품 개발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를 설립하였으며, 2021년에는 삼성물산과의 합작 투자를 통해 삼성라이프사이언스펀드가 조성되었습니다. 삼성벤처투자가 운용하는 이 펀드는 유전자치료법, ADC 등 차세대 기술의 성장을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바이오젠의 나머지 지분을 23억달러에 인수하여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완전 소유권을 확보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주요 제품

단일 클론 항체 (Monoclonal Antibodies)

특정 항원을 인식하고 결합하는 항체로, 동일한 면역 세포 클론에서 유래한 단일 항체입니다. 이 항체들은 특정 질병을 타겟으로 하여 면역 반응을 유도하거나 직접적으로 병원체를 중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1. 주요 특징

  • 특이성: 특정 항원에만 결합하는 높은 특이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일관성: 동일한 클론에서 유래한 항체이기 때문에, 생산된 항체의 특성과 기능이 일관성을 유지합니다. 이는 치료제의 품질을 보장하는 데 중요합니다.
  • 다양한 용도: 암, 자가면역 질환, 감염병 등 다양한 질병 치료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암 치료에서는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거나 면역 체계를 활성화하여 암세포를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2. 제조 과정

  • 항원 선택: 치료하고자 하는 질병과 관련된 특정 항원을 선택합니다.
  • 면역 반응 유도: 선택된 항원을 동물(주로 쥐)에 주입하여 면역 반응을 유도합니다.
  • B세포 추출 및 융합: 항체를 생산하는 B세포를 추출하고, 이 세포를 불멸화 세포와 융합하여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만듭니다.
  • 항체 생산 및 정제: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배양하여 단일 클론 항체를 대량 생산하고, 이를 정제하여 치료제로 사용합니다.

3. 치료 효과

  • 리툭시맙 (Rituximab): 비호지킨 림프종과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치료에 사용됩니다.
  • 트라스투주맙 (Trastuzumab): HER2 양성 유방암 치료에 사용됩니다.
  • 아달리무맙 (Adalimumab): 류마티스 관절염, 크론병 등 자가면역 질환 치료에 사용됩니다.

이중 특이 항체 (Bispecific Antibodies)

1. 작동 원리 및 기능

두 가지 서로 다른 항원에 동시에 결합할 수 있는 항체입니다. 이는 기존의 단일 항체 치료제보다 더 높은 치료 효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쪽은 암세포를 타깃으로 하고 다른 한쪽은 면역세포와 결합하여 암세포를 공격하면서 동시에 면역력을 강화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또한, 이중 특이 항체 플랫폼인 S-DUAL™을 개발하여, 기존 이중 특이 항체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안정성과 생산 효율성을 높였습니다. S-DUAL™은 비대칭형 구조로 설계되어 잘못 결합된 항체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결합력을 높여 불순물 발생 비율을 낮추고, 최대 99%의 높은 순도를 확보했습니다. 특히 차세대 항암 치료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이 회사는 이를 통해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S-DUAL™
S-DUAL™(에스-듀얼)

2. 치료 효과

  • 이중 타깃팅: 이중 특이 항체는 두 가지 서로 다른 항원에 결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쪽은 암세포 표면의 특정 항원에 결합하고, 다른 한쪽은 면역세포 표면의 항원에 결합하여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인식하고 공격하도록 유도합니다.
  • 면역세포 활성화: 이중 특이 항체는 면역세포를 활성화하여 암세포를 공격하게 합니다. 예를 들어, T세포를 활성화하여 암세포를 직접 파괴하거나, 자연 살해(NK) 세포를 활성화하여 암세포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 신호 전달 차단: 일부 이중 특이 항체는 암세포의 성장과 생존에 필요한 신호 전달 경로를 차단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고 사멸을 유도합니다.
  • 약물 전달: 이중 특이 항체는 특정 항원에 결합하여 약물을 직접 암세포에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약물의 효능을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항체-약물 접합체 (Antibody-Drug Conjugates, ADCs)

항체-약물 접합체(ADC)는 항체와 약물을 링커(linker)로 결합하여 만든 차세대 항암 치료제입니다. 이 약물은 세계 최고 수준의 항체 생산 역량을 바탕으로 ADC 생산을 위한 전용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이를 통해 ADC의 개발 및 생산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1. 주요 특징

  • 정확한 전달: 항체가 암세포 표면의 특정 항원에 결합하여 약물을 직접 전달합니다.
  • 높은 치료 효과: 강력한 항암 약물이 암세포 내부로 직접 전달되어 높은 치료 효과를 발휘합니다.
  • 낮은 부작용: 약물이 암세포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건강한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합니다.

mRNA 백신

메신저 RNA(mRNA)를 이용하여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백신입니다. 이 백신은 바이러스의 유전 정보를 담은 mRNA를 인체에 주입하여, 세포가 바이러스의 특정 단백질을 생성하게 합니다. 이를 통해 면역 시스템이 해당 단백질을 인식하고 항체를 생성하여 실제 바이러스
감염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합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그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되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질병에 대한 백신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1. 주요 특징

신속한 개발: 이 백신은 바이러스의 유전자 정보만 알면 빠르게 설계할 수 있어, 전통적인 백신보다 개발 속도가 빠릅니다.
높은 효능: 화이자와 모더나의 mRNA 백신은 코로나19 예방 효과가 90% 이상으로 매우 높습니다.
유연성: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쉽고, 새로운 변종이 나타날 때마다 빠르게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2. 작동 원리

  • mRNA 주입: 백신을 통해 인체에 주입된 mRNA는 세포 내로 들어가 리보솜에 의해 단백질로 번역됩니다.
  • 항원 생성: 이 단백질은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면역 시스템이 이를 인식하고 항체를 생성합니다.
  • 바이러스 제거: 생성된 항체와 기억 세포는 이후 실제 바이러스가 침입했을 때 신속하게 반응하여 바이러스를 제거합니다.

삼성바이오에피스 제품(자회사)

바이오시밀러는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에서 개발하고 있습니다. 현재 개발상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베네팔리 (Benepali): 엔브렐(Enbrel)의 바이오시밀러로, 류머티즘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등의 치료에 사용함.
플릭사비 (Flixabi): 레미케이드(Remicade)의 바이오시밀러로,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류머티즘 관절염 등의 치료에 사용함.
임랄디 (Imraldi): 휴미라(Humira)의 바이오시밀러로, 류머티즘 관절염, 건선, 크론병 등의 치료에 사용함.
바이우비즈 (Byooviz): 루센티스(Lucentis)의 바이오시밀러로, 안과 질환 치료에 사용함.
에피즈텍 (Epysitek): 스텔라라(Stelara)의 바이오시밀러로, 건선 및 크론병 치료에 사용함.

바이오시밀러 (Biosimilars)와 바이오베터

바이오시밀러와 바이오베터는 오리지널 약을 기준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한 가지 오리지널 약이 나오면 그 약에 대한 특허 기간이 종료될 즈음 같은 방식으로 약을 제조하게 되는데 이것을 ‘바이오시밀러’라고 합니다. 세포, 단백질, 유전자(DNA) 등을 원료로 만드는 바이오의약품은 크기가 크고 복잡한 분자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같은 제조법으로 만들더라도 오리지널 약과 100% 똑같이 복제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같은 동물세포에서 추출한 유전자로 약을 생산해도 배양 조건, 정제 방법 등 제조 방식과 환경에 따라 단백질의 구조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반면 ‘바이오베터’는 기존의 오리지널 약을 더 나은 방법으로 개량한 것을 말합니다.
치료율 향상, 치료 기간 단축, 편의성 개선 등 기존의 오리지널 약 대비 뛰어난 점이 인정되어야 “베터”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베터(Better)”라는 표현처럼 효과는 당연히 오리지널약이나 바이오시밀러보다 뛰어나고, 특허에서도 자유롭기 때문에 바이오시밀러는 물론 오리지널 약보다도 비교해도 훨씬 더 높은 가격으로 책정됩니다.

바이오시밀러와 바이오베터 차이점

바이오시밀러 오리지널 의약품은 셀트리온‘트룩시마’, 화이자’룩시엔스’가 있으며, 바이오베터 오리지널 의약품은 맘테라 피하주사제가 있습니다.

바이오시밀러와 바이오베터의 의약품

주요 서비스

  • 위탁개발(CDO) 서비스: 고객 맞춤형 바이오의약품 개발을 지원하는 다양한 서비스 패키지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셀렉테일러(SelecTailor™) 서비스 패키지와 디벨롭픽(DEVELOPICK™) 3.0 플랫폼 등이 있습니다.
  • 위탁생산(CMO) 서비스: 글로벌 제약사와의 위탁생산 계약을 통해 다양한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합니다. 최근에는 UCB, MSD 등과의 계약을 체결하여 생산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고농도 세포배양 플랫폼: 에스-텐시파이(S-Tensify™) 플랫폼을 통해 고농도 세포배양을 가능하게 하여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시설 및 확장

  • 2011년에 설립한 이후, 2023년까지 총 60만 리터 이상의 생산 용량을 갖춘 4개의 제조 공장을 건설했습니다.
  • 2020년부터 미국 사업을 확장하여 뉴저지와 샌프란시스코에 사무실을 개설했습니다. 덕분에 미국 동부와 서부 지역의 바이오제약 기업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 2023년에는 한국 인천에 5번째 공장의 건설을 시작했으며, 이 공장이 완공되면 회사는 총 784,000리터의 바이오 제조 용량을 보유하게 됩니다.2025년 완공 예정의 제5공장 증설 발표를 통해 초격차 경쟁력을 확대해나갈 예정이며, 증가하는 바이오의약품의 수요와 공급간의 격차를 줄이며 바이오의약 산업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협력 회사

  • 2020년, GSK와 주요계약중 첫번째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계약은 루푸스 치료제인 벤리스타를 포함한 생물학적 치료제를 제조하며 8년간의 계약기간으로, 총 2억 3,100만 달러 규모였습니다. 2022년, 두 번째 계약이 체결되었으며, 이 계약으로 2억 9,600만 달러 규모였습니다.
  • COVID-19 팬데믹 동안, 모더나와 협력하여 mRNA 백신인 Spikevax의 충전, 포장 및 라벨링을 담당했었습니다. 또한, Eli Lilly의 COVID-19 항체 치료제와 AstraZeneca의 장기 작용 항체 치료제를 제조하는 계약도 체결하였습니다.
  • 2023년 6월, 화이자의 다중 제품 바이오시밀러 포트폴리오의 상업적 제조를 위해 4억 1,100만 달러규모의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한 달 후, 화이자와 총 8억 9,700만 달러 규모의 두 건의 계약을 체결하여, 4공장에서 종양학, 염증학, 면역 요법에 이르는 다양한 바이오시밀러 제품을 생산하기로 하였습니다.
  • 2024년 6월 기준, CEO인 존 림은 상위 20대 바이오제약 회사 중 16개 회사와 활발한 협력을 맺고 있습니다. 이 기업에는 2013년 로슈 및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와의 초기 거래부터 시작하여 팬데믹 이후의 대규모 협력까지 포함됩니다.
  • 대형 제약 회사와의 협력 외에도, 소규모 개발 단계의 회사들과도 협력해 왔습니다. 2023년, 유럽 벤처 캐피털 회사인 쿠르마 파트너스와 다년 계약을 체결하여, 개발, 제조, 위험 감소 서비스를 통하여 포트폴리오 회사를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 2024년 2월에는 리가켐(구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와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하여, 리가켐의 항체-약물 접합체(ADC) 파이프라인을 지원하는 항체 개발 및 약물 물질 제조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하였습니다.

연도별 재무 성과

2020년

  • 매출액: 약 1조 1,640억 원
  • 영업이익: 약 3,270억 원
  • 주요 성과: 3공장 가동 시작하였으며, 글로벌 제약사와의 대규모 계약 체결하였습니다.

2021년

  • 매출액: 약 1조 5,700억 원
  • 영업이익: 약 5,000억 원
  • 주요 성과: 3공장 풀가동 하며 바이오시밀러 제품 판매 확대하였습니다.

2022년

  • 매출액: 약 1조 9,620억 원
  • 영업이익: 약 6,380억 원
  • 주요 성과: 삼성바이오에피스 인수와 4공장 본격 가동시작하였으며 신규 바이오시밀러 제품 출시되었습니다.

2023년

  • 매출액: 약 3조 6,945억 원
  • 영업이익: 약 1조 1,136억 원
  • 주요 성과: 전년 대비 매출액은 23.1%, 영업이익은 13.2% 성장했습니다. 이는 4공장 가동 및 글로벌 제약사와의 대규모 계약 체결하였습니다. 또한, 인천 송도에 제2캠퍼스 부지를 확보했으며, 2032년까지 7조5000억원을 투자해 4개 공장 추가 건설까지 이끌었습니다. 이로서 삼성 관계사 중 2018년 삼성물산, 삼성전기, 2021년 삼성SDI, 삼성증권 등에 이어 상장사 중 9번째로 영업이익 1조 기업에 가입하게 되었습니다.

2024년

  • 1분기 매출액: 약 2조 1,038억 원
  • 1분기 영업이익: 약 6,558억 원
  • 2분기 매출액: 1조 1,569억 원
  • 2분기 영업이익: 영업이익 4,345억 원
  • 주요 성과: 창립 이래 최초로, 상반기 매출액 2조원 돌파 기록을 달성했습니다. 대규모 수주에 기반한 4공장의 원활한 램프업(Ramp-up), 바이오시밀러 품목 허가에 따른 마일스톤(연구개발 수수료) 수령, 우호적인 환율 환경에 따른 성과에 따른 결과로 해석됩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23,24년 매출액, 영업이익

재무 현황

2024년 연결기준 부채비율 58.1%, 차입금 비율 14.2%를 기록했습니다. 2022년부터 지속적으로 부채비율 및 차입금 비율을 감소시키며 안정적인 재무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하반기 4공장 가동률 상승과 더불어 바이오시밀러 사업 매출 확대 등 분기별 안정적인 실적 성장을 바탕으로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최초로 연매출 4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024년 사업 현황

글로벌 CDMO 경쟁력 강화

글로벌 탑 20개 제약사 중 16개사를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으며, 이는 작년의 14개사에서 2개사가 증가한 것입니다. 2024년 UCB와 3,819억 원 규모의 증액 계약을 시작으로, 주요 글로벌 제약사들과 총 7건의 신규 및 증액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특히, 최근 미국 제약사와의 단일 계약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인 1조 4,637억 원의 계약을 체결하며, 2024년 누적 수주 금액이 약 2조 5천억 원을 돌파했습니다. 이는 전년도 전체 수주 금액의 70%에 해당하는 수치입니다. 2011년 창사 이래 누적 수주 총액은 140억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생산 능력 확장

증가하는 바이오의약품 수요에 대비해 생산 능력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그 일환으로 지난 4월 18만 리터 규모의 5공장을 착공했으며, 2025년 4월 가동을 목표로 건설 중입니다. 5공장은 1~4공장의 최적 사례를 집약한 18만 리터 규모로 설계되었으며, 완공 시 총 78.4만 리터의 생산 능력을 확보하게 됩니다.

ADC 분야 투자

ADC(항체-약물 접합체) 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도 진행 중입니다. 연내 ADC 전용 생산시설을 가동할 계획이며, 아라리스 바이오텍과 에임드바이오 등 우수한 ADC 기술 보유 기업에 투자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고객 맞춤형 위탁개발(CDO) 서비스

고객 맞춤형 위탁개발(CDO) 플랫폼과 서비스를 통해 CDO 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고농도 세포배양 플랫폼인 에스-텐시파이(S-TensifyTM), 고객 맞춤형 바이오의약품 개발을 지원하는 셀렉테일러(SelecTailorTM) 서비스 패키지, 후보물질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디벨롭픽TM(DEVELOPICKTM) 3.0 등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신규 모달리티 투자

2024년 7월 약 720억 원(5,223만 달러) 규모의 삼성 라이프 사이언스 2호 펀드를 조성하여, AI 기반 신약 개발 플랫폼 기술에 중점을 둔 플래그십 파이어니어링(Flagship Pioneering) 8호 펀드에 투자하기로 결정했습니다.

ESG 경영

2024년 5월 글로벌 ESG 공시 트렌드를 반영한 ESG 보고서를 발간했으며, 이중 중대성 평가를 확대 적용하여 기업의 사회적, 환경적 영향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신규 ESG 공시지표, 고객사 요구사항, 글로벌 ESG 평가지표 및 규제당국 현황 등을 추가하여 평가의 완전성과 정확성을 강화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주가 흐름

주가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여러 변동을 겪었습니다. 주요 변동 사항을 연도별로 살펴보겠습니다.

2020년

  • 초기 팬데믹 영향: 2020년 초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주가가 일시적으로 하락했으나, 바이오 의약품 수요 증가로 빠르게 회복했습니다.
  • 주가: 2020년 초 주가는 361,717원이었으며, 연말에는 869,701원으로 크게 상승했습니다. 이는 140.44%의 상승률을 보여주는 놀라운 성장이었습니다.

2021년

  • 지속적인 성장: 바이오 의약품 위탁생산(CMO) 사업의 성장과 함께 주가가 꾸준히 상승했습니다.
  • 상승 요인: 모더나 백신 위탁생산 계약 체결 등의 호재로 주가가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 주가: 2021년 초에는 676,983원으로 시작하여 연말에 1,000,156원까지 상승했습니다. 이는 47.74%의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2022년

  • 변동성 증가: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주가 변동성이 커졌습니다.
  • 주가: 2022년 초 703,667원에서 시작하여 연말에 910,000원으로 마감했습니다. 이는 29.32%의 상승률을 보여줍니다.

2023년

  • 안정적 성장: CMO 사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신약 개발 성과로 주가가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 주가: 2023년 초 680,000원에서 시작하여 연말에 827,000원으로 마감했습니다. 21.62%의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2024년

  • 현재 주가: 2024년 10월 현재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주가는 999,000원입니다.
  • 2024년 1월 1일 주가는 859,000원이었으며, 9월 30일 기준으로 1,060,000원까지 상승했습니다. 이는 23.40%의 상승률을 보여줍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주가챠트

현재 주가 분석 및 목표 주가

현재 주가는 999,000원(2024년 10월 4일)으로, 최근 979,000원에서 1,003,000원 사이에서 변동하고 있으며, 시가총액은 약 69조 5,370억 원입니다.
애널리스트는 목표 주가를 상향 조정했으며, 일부에서는 120만 원 이상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상승 요인으로는 기존 사업계획 대비 높은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는 달러 강세로 보이며 “미-중 생물보안법에 따른 초기 위탁개발 연구 관련 문의 증가와 이에 따른 중장기적 성장 동력 확보”도 기대하고 있습니다.

기업의 목표와 향후 주가 전망

2024년 계획하는 것은 ADC(항체-약물접합체) 공장을 올해 완공하고 가동하는 것과 5공장을 빠르게 추진해 내년부터 가동하는 것입니다. 또 항체의약품 시장을 넘어 CGT(세포·유전자치료제) 등 신규 모달리티(치료접근법) 시장을 위한 준비도 하고 있습니다.

목표대로 달성된다면 ADC 생산 능력 개선으로 인해 관련 기업들과의 위탁개발생산(CDMO) 계약 확대가 될 것이며 또한, 라이프사이언스 펀드를 통해 ADC 관련 기술 보유 기업들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고 있어, 이 기업의 CDMO 계약 가능성이 높아지게 될 것입니다.
이 기업의 목표대로 이루어진다면 주가는 앞으로도 상승으로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마무리

이 기업은 혁신적인 바이오 의약품 개발 및 제조 능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확장과 파트너십을 통해 앞으로도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으로 보입니다. 최단 시간 내 세계 최대 생산능력 (총 604 kL)을 확보하였으며, 2025년 완공 예정의 제5공장 증설 발표를 통해 초격차 경쟁력을 확대해나가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 기업의 개요와 주요제품, 그리고 이 기업의 주가와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Simi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