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대만 TSMC의 미국 반도체 공장에 대해 지원금 66억달러(약 9조2000억원)를 지급하기로 최종 확정하면서 이 기업이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기업의 역사, 성과, 시총에 대해 분석하여, 주가와 미래 전망에 대해 예측해 보겠습니다.
TSMC 어떤 회사인가?
기업 개요
TSMC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타이완 반도체 제조)는 세계 최대의 반도체 제조업체로, 1987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주로 칩 제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파운데이션 파운드리 기업으로, 다양한 전자 제품 제조업체에 대한 반도체 칩을 공급합니다. 고성능 및 고가치 반도체 제품을 제조하는 데 특화되어 있으며, 5nm 공정 기술을 포함한 최첨단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기업은 Apple, Qualcomm, 인텔 등 주요 전자 기업과 긴밀하게 협력하며, 5G 기술, 인공지능, 자율주행 등의 혁신적인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재무적인 안정성과 기술적 우수성으로 인해 글로벌 반도체 산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세계 경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기업의 역사
1. 창업 배경
대만의 반도체 산업 발전을 위한 획기적인 전환점은 1986년에 찾아왔습니다. 당시 중화민국 행정원을 대표하던 리궈딩이 모리스 창을 산업 기술 연구소(ITRI)의 원장으로 초빙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리궈딩은 모리스 창에게 대만의 반도체 산업을 구축하라는 막중한 임무와 함께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대만 정부는 반도체 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지만, 이 분야는 막대한 투자금액과 높은 리스크로 인해 민간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기 어려웠습니다. 심지어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와 인텔 같은 거대 기업들도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기를 꺼렸습니다. 결국 필립스만이 이 도전적인 프로젝트에 관심을 보였습니다. 필립스는 TSMC의 27.5% 지분을 대가로 5,800만 달러를 투자하고, 생산 기술 이전 및 지적 재산권 라이선스를 제공하는 조건으로 대만과 합작 투자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2. 성장 배경
대만 정부는 이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파격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관대한 세금 혜택을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국가 개발 기금인 행정원을 통해 TSMC 창업 자본의 48%를 직접 투자했습니다. 나머지 자본은 대만의 부유한 가문들로부터 조달되었는데, 이들은 주로 플라스틱, 직물, 화학제품 등의 산업에서 성공한 기업가들이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이 부유한 대만 기업가들의 투자가 순수한 자발적 참여라기보다는 정부의 ‘요청’에 의한 것이었다는 사실입니다. 모리스 창은 이에 대해 “대개 정부 장관 중 한 명이 대만의 사업가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투자를 요청하곤 했습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는 처음부터 순수한 민간 기업이 아니라 대만 정부의 국가적 프로젝트였음을 보여줍니다.
3. CEO
회사의 첫 CEO는 제임스 E. 다이크스였으나, 그는 단 1년 만에 회사를 떠났습니다. 이후 모리스 창이 CEO 자리를 맡아 TSMC를 세계적인 반도체 기업으로 성장시키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대만 정부의 전략적 비전, 국제적 기업의 기술력, 그리고 국내 재벌들의 자본이 결합된 독특한 형태의 기업으로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대만의 경제 발전 전략과 산업 정책의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으며, 오늘날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중요한 위치의 근간이 되었습니다.
연도별 성과
1. 2011년
- 경쟁 심화에 대응하기 위해 공격적인 전략을 채택했습니다. 연구 개발 비용을 39% 증가시켜 NT$500억(약 180억 달러)으로 확대했으며, 시장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생산능력을 30% 늘리기로 결정했습니다.
- 애플의 아이패드와 아이폰용 A5 및 A6 SoC의 시험 생산을 시작했다는 보고가 있었습니다.
2. 2014년
- 이 해는 이 기업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 5월과 8월, 이사회는 총 36억 1,800만 달러의 대규모 자본 배정을 승인하여 제조 능력을 크게 확장했습니다.
- 애플과의 관계도 더욱 긴밀해져, A8 및 A8X SoC를 공급하기 시작했으며, 애플은 TSMC의 가장 중요한 고객으로 자리잡았습니다.
- 10월에는 ARM과 10nm FinFET 프로세서 개발을 위한 다년 계약을 체결하며 기술 혁신에도 박차를 가했습니다
3. 2020년
- 환경 책임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도약했습니다. RE100 이니셔티브에 서명한 최초의 반도체 회사가 되어 2050년까지 100% 재생 가능 에너지 사용을 약속했습니다. 이는 대만의 에너지 정책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 재무적으로도 큰 성과를 거두어, 연결 수익 455억 1천만 달러, 순이익 176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각각 31.4%, 57.5% 성장했습니다.
- 4월에는 시가총액이 5,500억 달러를 넘어서며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위상더욱 공고히 했습니다.
- 7월에 화웨이와 하이실리콘에 대한 실리콘 웨이퍼 공급 중단을 결정했습니다.
- 11월에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에 120억 달러 규모의 칩 공장 건설 계획이 승인되었습니다.
- 연결 수익 455억 1천만 달러, 순이익 176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각각 31.4%, 57.5% 성장했으며, 설비투자액은 181억 달러로 매출의 38%를 차지했습니다.
4. 2021년
- 기업의 성장세는 계속되어, 4월 시가총액이 5,500억 달러를 초과했습니다. 이는 2020년 1분기의 2,540억 달러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로, TSMC가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이 더욱 커졌음을 보여줍니다.
- 미국과 일본에 새로운 생산 시설 확장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 11월에 소니와 함께 일본 구마모토에 Japan Advanc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JASM) 설립을 발표했습니다.
5. 2022년
- 2월에 덴소의 JASM 투자 및 생산 능력 확대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 7월에 2분기 기록적인 이익을 발표하며, 순이익이 전년 대비 76.4% 증가했습니다.
- 3분기에 버크셔 해서웨이가 TSMC 주식 6천만 주를 매입하여 41억 달러의 지분을 인수했으나, 다음 분기에 지정학적 긴장을 이유로 86.2%를 매각했습니다.
- 연간 매출 760억 달러, 순이익 340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6. 2023년
- N3 공정이 2022년 말부터 대량 생산을 시작한 후, 2023년에 본격적으로 확대되어N3E(Enhanced) 버전이 2023년 하반기부터 대량 생산에 들어갔습니다.
- N3P(Performance-enhanced) 및 N3X(eXtreme performance) 버전을 도입하여 3nm 공정 제품군을 확장했으며, N3AE(Auto Early) 기술을 소개하여 자동차 산업용 3nm 설계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 2025년 대량 생산을 목표로 2nm(N2) 공정 개발을 지속했습니다.
- N2P와 N2X 버전은 2026년 출시를 목표로 개발 중입니다.
- 3D 집적 및 고급 패키징 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첨단 패키징 기술을 발전시켰습니다.
- TSMC-SoW(System-on-Wafer) 기술을 도입하여 웨이퍼 수준에서 직접 성능을 향상시키는 혁신을 이뤘습니다.
- AI 연산 능력의 급증에 대응하여 고성능 컴퓨팅(HPC) 특화 칩 개발에 주력하며 시장을 주도하였습니다.
- 자동차, IoT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특수 공정 기술 개발을 지속하며 성장하였습니다.
- 미국, 일본 등 해외 생산 기지 확장을 통해 지정학적 리스크 분산을 추진하며 글로벌기업으로 확장해 나갔습니다.
- RE100 이니셔티브에 따른 재생 가능 에너지 사용 확대를 지속적으로 추진했습니다.
7. 2024년
1)AI 반도체 수요 급증과 매출 증가:
- HPC(고성능 컴퓨팅) 부문, 특히 AI 관련 칩 수요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 3나노미터와 5나노미터 제품에 대한 수요가 강해 매출 증가를 견인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첨단 공정 기술의 지속적 발전:
- 7나노미터 이하의 최신 공정이 전체 매출의 65%를 차지했습니다.
- N3(3nm) 공정이 본격적으로 보편화되어 고성능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 N3E, N3P, N3X 등 3nm 공정의 다양한 변형 기술이 개발되었습니다.
3)N2(2nm) 공정 개발 가속화:
- 2025년 양산을 목표로 2nm 공정 개발이 진행 중입니다.
- NanoFlex™ 기술이 포함된 N2 기술이 소개되어 표준 셀 디자인의 유연성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4)시장 수요 변화:
- PC 시장은 바닥을 찍었으나 회복 속도가 느린 상황입니다.
- 전통적인 서버 수요는 느리고 미지근한 상황이지만, AI 관련 수요는 강세를 보입니다.
- IoT와 소비자 가전 분야는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 자동차 부문의 재고 조정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5)지역별 매출 변화
- 중국 지역의 매출 감소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이는 중국 내 경기 둔화와 미·중 무역 분쟁의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6)글로벌 확장 지속
- 미국 및 일본 공장 건설 로드맵이 진행 중입니다.
7)기술 로드맵 발표
- High-End와 Mainstream의 두 가지 축으로 나뉜 기술 로드맵을 발표했습니다.
- 각 공정 기술은 성능, 전력 효율, 비용 측면에서 다양한 고객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발전하고 있습니다.
8)거시 경제 및 지정학적 불확실성
- 2024 회계연도 전체적으로 거시 경제 및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시가 총액
시가총액 변화와 경쟁사와의 비교를 시간 순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2017년 하반기
시총은 약 200조 원 수준이었습니다. 당시 회사 규모는 매출 328억 달러, 영업이익 130억 달러, 자산 670억 달러, 시가총액 1800억 달러, 직원 수 4만 7천 명 정도였습니다. 같은 시기 삼성전자의 시총은 300~350조 원 수준이었습니다.
2019년
- 7월 초, 약 230조 원, 인텔은 250조 원으로 인텔이 우위를 차지했습니다.
- 11월에는 이 기업이 삼성전자를 추월했다는 보도가 있었으나, 삼성전자의 우선주를 포함하면 여전히 삼성전자가 더 높았습니다.
2020년
- 7월은 370조 원 이상의 시총으로 삼성전자(350조 원)를 추월하며 세계 반도체 회사 중 시가총액 1위가 되었습니다.
- 10월에는 470조 원까지 상승했습니다. 그러나 연말에 삼성전자가 540조 원으로 다시 이 기업을 추월했습니다.
2021년
- 1월은 614조 원으로 삼성전자(585조 원)를 다시 앞섰습니다.
- 그러나 2~3월 대만의 심각한 가뭄과 미국 국채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주가가 하락하여 3월 말 기준 591조 원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2022년
- 1월 17일부터 4월 27일 사이에 TSMC의 시가총액이 약 150조 원 감소했습니다.
- 8월은4,462억 달러(약 583조 원)로 세계 11위를 기록했습니다. 같은 시기 삼성전자는 3,147억 달러(약 411조 원)로 24위에 머물렀습니다. 이 시점에서 이미 삼성전자를 크게 앞서고 있었습니다.
2023년
전 세계 시총 순위에서 10위를 기록했으며, 아프리카-유라시아 대륙에서는 사우디 아람코에 이어 2위를 차지했습니다. 파운드리 업계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5년간 80%의 매출 성장률을 보여 삼성전자(18%)를 크게 앞섰습니다. 10년 기준으로는 TSMC 258%, 삼성전자 53%의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성장세와 함께 애플, AMD 등 주요 기업들의 첨단 공정 수요를 독점하다시피 하며 시장에서 우월적 지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글로벌 경제 상황과 지정학적 요인들로 인해 시총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2024년
1. 세계 9위 기업 등극
5월은 8,300억 달러를 넘어서며 세계 9위 기업으로 올라섰습니다. 미국 기업을 제외하면 사우디 아람코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순위입니다. 이는 대만의 1년 국내총생산(GDP)을 상회하는 규모로, 이 기업이 얼마나 거대한 기업으로 성장했는지 보여줍니다.
급격한 성장 요인은 2023년부터 시작된 AI 열풍과 미국 대형 기술 기업들의 높은 반도체 수요로 볼 수 있겠습니다.
이로 인해 주가는 전년 동기 대비 53% 상승했고, 반도체 위탁생산 시장의 62%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이 기업이 동아시아에서 가장 큰 기업으로 성장했음을 의미합니다.
2. 시가총액 1조 달성
7월은 더욱 증가하여 9,600억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이는 대만 주식시장 전체 시총의 절반에 해당하는 엄청난 규모입니다. 이제 TSMC는 삼성전자와 비교하기 어려울 정도로 큰 격차를 보이고 있으며, 대만 내 2위 기업인 폭스콘과는 약 10배의 차이가 납니다. 이러한 성장은 단순히 기업의 성공을 넘어 대만 경제 전체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제 대만의 경제와 산업 구조를 좌우할 수 있는 수준의 거대 기업으로 자리잡았습니다.
3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36% 증가하여 235억 달러를 달성했으며, 순이익도 54% 증가한 101억 달러로 집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성과로 시총이 1조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특히, AI프로세서가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24년에만 3배 이상 증가하였습니다.
TSMC 이야기
디지타임즈의 TSMC 편향적 보도
디지타임즈는 대만의 언론사로, TSMC를 옹호하고 삼성에 대한 비판적인 기사를 자주 게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RTX 30 시리즈의 초기 물량 부족에 대해 디지타임즈는 삼성의 8nm 공정 수율이 낮기 때문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마이크론의 GDDR6X VRAM 수량 부족이 더 큰 원인으로 작용했습니다.
GDDR6X가 적용된 RTX 3080과 RTX 3090 모델은 물량이 부족했지만, 이들 외의 하위 그래픽카드 모델들은 충분한 공급이 이루어졌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디지타임즈의 보도가 사실관계를 정확히 반영하지 않고 TSMC에 유리한 방향으로 편향되었음을 보여줍니다.
결국, 특정 메모리 칩인 GDDR6X의 공급 부족이 주요 원인이었으며, 이는 삼성의 공정 문제와는 무관했습니다.
2019년 웨이퍼 오염 사건
1.웨이퍼 오염 사건의 해석
2019년 1월 28일, 감광석 문제로 인한 대규모 웨이퍼 오염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국제 보도에서는 ‘tens of thousands of wafers’라고 표현되어 ‘수만 장의 웨이퍼’로 정확히 해석되어야 하지만, 일부 국내 언론에서는 이를 10만 장으로 과대 보도했습니다. 실제로는 1만 장의 수 배 정도로 추정되며, 10만 장이라는 수치는 과장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 사건이 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과대 해석이 있었습니다. 실제로 이 문제는 16nm와 12nm 공정에 국한되어 있었고, 이 공정들은 당시 주로 엔비디아와 미디어텍 같은 일부 기업에서만 사용되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이 사건이 기업에 큰 악재가 될 것이라는 분석은 과장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2. 기업의 대응 능력
이 사건은 회사의 품질 관리 시스템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게 했지만, 동시에 회사의 신속한 대응 능력도 보여주었습니다. 회사는 문제를 빠르게 인지하고 해결책을 마련했으며, 이는 회사의 기술력과 위기 관리 능력을 입증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또한 이 사건을 계기로 품질 관리 시스템을 더욱 강화하고, 새로운 청정 기술을 개발하는 등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기도 했습니다.
웨이퍼 오염 사건과 삼성 파운드리
1. 웨이퍼 오염 사건의 손실
웨이퍼 오염 사건은 회사의 신뢰도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이 문제가 TSMC에 큰 손실을 주거나 삼성 파운드리에 큰 이익이 될 것이라는 분석은 과장된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기업들이 이 회사에서 삼성 파운드리로 쉽게 전환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는 제품을 테스트 단계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는 부담과 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실 때문입니다.
그러나, 오히려 현실은 이와 반대로 나타났습니다. 삼성 파운드리가 약 20~30%대의 매우 낮은 수율을 보이면서 대형 고객사들의 신뢰를 잃게 되었고, 이로 인해 많은 기업들이 이 회사에만 발주를 넣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이는 웨이퍼 오염 사건이 회사의 시장 지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보여줍니다.
2. 미치는 영향
결론적으로, 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러한 문제들이 회사의 평판에 일시적인 영향을 줄 수는 있지만, 실질적인 시장 점유율이나 고객 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오히려 전반적인 기술력과 안정적인 생산 능력이 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미국에 반도체 보조금 신청
2023년 4월, TSMC가 미국 반도체 보조금을 신청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었습니다. 현재 미국 애리조나에 반도체 공장을 건설 중이며, 이 보조금으로 일부 비용을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보조금 혜택 이면에는 해외 기업에 대한 여러 제약 조항들이 존재합니다. 보조금을 신청한 기업들은 미국 정부에 기업의 민감한 기밀 정보를 제출해야 하는데, 이 정보가 인텔 파운드리와 같은 미국 반도체 기업들에게 유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미국 정부가 정한 기준을 초과하는 이익이 발생할 경우 이를 미국에 반환해야 하는 조건도 있습니다.
미국의 압력으로 3nm 이하 제조 공장을 미국에 건설하고 있지만, 이러한 독소 조항들에 대해 항의하고 있습니다. 이는 TSMC가 미국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면서도 기업의 이익과 기술 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상황은 글로벌 반도체 산업에서 기업들이 직면하는 복잡한 정치적, 경제적 도전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선단 공정 가격 대폭 인상
1. 선단 공정 가격 인상 원인
2023년 5월, 5나노미터(nm) 이하 선단 공정에 대한 가격을 최대 30% 인상할 계획이라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이는 전년도 5월에 발표한 6% 가격 인상 계획보다 최대 5배나 높은 수준입니다. 이러한 대폭적인 가격 인상의 주요 원인으로는 TSMC의 미국 애리조나 공장 건설과 관련된 비용 증가가 지목되고 있습니다.
미국에 새로운 공장을 짓게 된 것은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다변화와 미국 정부의 반도체 산업 육성 정책에 따른 결정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이 결정은 TSMC에게 상당한 비용 부담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현지의 높은 인건비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동아시아 지역에 비해 현저히 높은 미국의 인건비는 TSMC의 생산 비용을 크게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2. 가격인상의 영향
이러한 상황에서 이 기업은 증가하는 비용을 상쇄하고 수익성을 유지하기 위해 가격 인상을 결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회사의 글로벌 전략과 비용 구조 변화가 제품 가격에 직접적으로 반영된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가격 인상은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화와 지정학적 요인이 기업의 가격 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잘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미국 반도체 보조금 9조 2000억원 지원 확정
1. 바이든의 반도체 보조금 지원
2024년 11월 16일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이 기업에 반도체지원법(CHIPS Act)에 따른 66억 달러(약 9조2000억원)의 지원금 지급을 확정했습니다. 이는 미국 내 반도체 생산 능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조치입니다. 백악관은 이 기업의 자회사인 TSMC 애리조나에 이 지원금을 제공할 것이며, 추가로 50억 달러(약 7조원) 규모의 저리 대출도 제공할 계획입니다.이 지원은 TSMC가 애리조나주 피닉스에 650억 달러(약 90조원) 이상을 투자해 첨단 공장 3곳을 건설하는 계획을 뒷받침하기 위한 것입니다. 회사는 2030년까지 2나노 공정이 가능한 세 번째 팹을 포함해 총 3개의 반도체 생산공장을 건설할 예정입니다.
2. 보조금 지원 배경 및 영향
이번 발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의 2번째 취임을 약 2개월 앞두고 이루어졌습니다. 트럼프는 바이든 정부의 반도체법을 비판해 왔으며, 이 기업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견해를 표명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번 지원금 확정은 미국의 반도체 산업 강화 정책이 지속될 것인지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이 결정은 미국의 반도체 생산 능력 강화,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 그리고 기술 경쟁력 확보라는 전략적 목표를 반영하고 있으며, 향후 미국 반도체 산업의 발전 방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중 반도체 전쟁
1. 반도체 전쟁 이슈
반도체 전쟁이 신냉전의 핵심 이슈로 부상하면서, 미국에서는 대만해협 분쟁 발생 시 이 기업의 시설에 대한 극단적인 대응 방안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양안전쟁 발발 시 미국이 이 기업의 생산시설을 선제 폭격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으며, 이는 민주당과 공화당 양측에서 모두 나오고 있습니다. 공화당의 로버트 오브라이언과 민주당의 세스 몰튼 등이 이러한 주장을 펼치고 있습니다.이에 대해 대만 정부는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대만 국방부장이 직접 나서서 이러한 주장을 반박할 정도로 불쾌감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2. 반도체 산업의 불확실성
그러나 ASML 등 대만에서 활동하는 다른 국가의 반도체 기업들도 원격으로 생산장비를 정지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어, 여러 기업과 정부 당국에서도 극단적인 시나리오를 어느 정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반도체 산업이 단순한 경제적 문제를 넘어 국가 안보와 직결되는 전략적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 기업의 중요성과 대만의 지정학적 위치로 인해, 미중 갈등 상황에서 이 회사를 둘러싼 다양한 시나리오가 검토되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반도체 산업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더욱 높이고 있습니다
화웨이 타깃 제제 위반 연루
화웨이의 AI 칩셋
2024년 10월, 미국 상무부는 이 회사가 대중국 제재와 화웨이 관련 제재를 우회하여 AI 칩과 스마트폰 프로세서를 생산했는지 조사 중이라고 발표했습니다. 회사는 이에 대해 모든 관련 법령과 규정을 준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실제로, 10월 22일, 화웨이의 AI 칩셋인 Ascend 910B에서 이 기업이 제조한 칩이 발견되었습니다. 회사는 이 사실을 인정하고 미국 상무부에 자진 신고했습니다. 회사 측은 이 사실을 외부에서 밝혀지기 전까지 전혀 몰랐다고 주장하며, 해당 칩을 주문한 고객과의 거래를 즉시 중단했습니다.
2. 사건의 영향
이 사건은 미국 정치권에 파문을 일으켰습니다. 일부 정치인들은 “지나치게 커진 TSMC를 통제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 기업에 대한 규제 강화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사태는 더욱 확대되어, 이 회사가 화웨이와의 연관성이 의심되어 거래를 중단한 고객사의 수가 최소 2곳으로 늘어났다고 합니다. 이 사건은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의 최전선에 있는 T이 기업의 복잡한 상황을 잘 보여줍니다.
이 회사는 미국의 제재를 준수하면서도 중국 시장에서의 이익을 포기할 수 없는 딜레마에 처해 있습니다. 또한 이 사건은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의 복잡성과 취약성을 다시 한번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TSMC 재무정보
2023년 실적
매출액: 약 NT$2.16조로 전년 대비 감소(-4.51%)했습니다. 이는 반도체 수요 감소와 주요 고객사의 재고 조정 영향 때문입니다.
영업이익: 약 NT$9,214억으로, 영업 이익률은 약 43%를 기록했습니다.
순이익: 약 NT$8,377억으로 전년 대비 감소(-17.51%)했으며, 주당 순이익(EPS)은 NT$32.34였습니다.
기술 매출 비중: 7nm 이하 첨단 공정이 전체 매출의 58%를 차지하며, 첨단 기술 매출 비중이 꾸준히 증가했습니다.

2024년 성과 (예상 및 분기별)
1~3분기 누적 매출: 2024년 상반기에는 반도체 업계의 회복세와 AI 수요 증가로 매출이 개선되었으나, 연간 기준으로 큰 폭의 성장보다는 안정적인 실적이 예상됩니다.
EPS (주당순이익): 2024년 3분기까지 EPS는 약 NT$14로, 전년 대비 약간 감소했습니다. 이는 계속된 투자와 R&D 비용 증가 때문입니다.
첨단 공정 수익성: 2024년에도 3nm 및 2nm 공정 도입에 따라 첨단 기술의 매출 기여도가 더욱 확대될 전망입니다.

TSMC 주가
주가는 다양한 경제적, 산업적, 기업 내부 요인에 따라 변화해왔습니다. 글로벌 반도체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주가는 반도체 수요, 기술 혁신, 시장 경쟁, 경제 전반적인 변화 등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아래는 10년간의 챠트이며, 주가 특성을 몇 가지 주요 연도를 기준으로 설명한 내용입니다.

2010년대 초반 (2010-2014년): 안정적인 성장
1. 2010년
주가는 안정적이었으며, 반도체 산업이 전반적으로 성장세에 있었기 때문에 주가는 점차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특히 스마트폰과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되는 칩 수요가 증가하면서 회사는 긍정적인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2. 2012-2013년
모바일 기기, 특히 스마트폰에서의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면서 수익성이 크게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주가는 강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주로 삼성, 애플 등 대형 고객사들의 반도체 생산을 담당하며 이 시점에서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의 핵심 기업으로 자리잡았습니다.
3. 2014년
20nm 공정 기술을 상업화하고, 기술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며 긍정적인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이에 주가는 추가적인 상승세를 나타냈습니다.
2015-2019년: 글로벌 기술 리더십과 변동성
1. 2015-2016년
10nm, 7nm 공정에 대한 연구와 개발을 지속하며 기술 혁신을 이끌었습니다. 하지만 전 세계적인 반도체 경기 불황과 중국과의 무역 전쟁 등의 외부 요인으로 인해 일정 부분 하락하기도 했습니다.
2. 2017-2018년
주가는 다시 상승세를 보였으며, 특히 스마트폰과 자율주행차,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분야에서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면서 실적이 급등했습니다. 약간의 변동성을 겪으면서도 전반적으로 상승한 기간이었습니다.
3. 2019년
7nm 공정을 상업화하면서 AMD, 애플, 퀄컴 등 주요 고객을 확보하고, 반도체 산업의 리더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했습니다. 이 시기에 다시 강력한 상승세를 보였고, 특히 5G 기술 도입과 관련된 수요 증가가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2020-2023년: 팬데믹, 공급망 위기, 기술 혁신의 확대
1. 2020년
COVID-19 팬데믹은 전 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반도체 수요는 오히려 증가했습니다. 특히 원격 근무와 학습, 게임, 전자상거래의 급성장 등으로 인해 반도체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이 시기에 급격히 상승했으며, 이는 주요 기술 혁신과 5G, 인공지능(AI), 데이터 센터에 대한 수요 증가에 의해 뒷받침되었습니다.
2. 2021년
5nm, 7nm 공정에서 강력한 성과를 거두었고, 동시에 차세대 3nm 공정 개발에도 박차를 가했습니다. 반도체 공급망 문제와 관련된 위기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반도체 제조업체로 자리잡았습니다. 주가는 강력하게 상승하며, 특히 애플, AMD, 엔비디아와 같은 고객사의 수요 증가가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3. 2022년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반도체 공급망 문제, 그리고 인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인해 주가는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반도체 산업 전반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일부 영향을 받았으나, 여전히 장기적인 성장 전망은 긍정적이었습니다. 2022년 11월, 미국 애리조나주에 새로운 반도체 공장을 건설할 계획을 발표하며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4. 2023년
3nm 공정을 출시하며 기술 혁신을 지속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애플과 같은 고객들에게 고급 반도체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2023년에도 반도체 시장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긍정적인 실적을 보였으며, 주가는 안정적인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반도체
수요가 여전히 강하게 유지되며, 특히 AI와 데이터 센터에 대한 수요가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5. 2024년
2월에 주가가 거래일 최고가 NT$709에 도달하고 NT$697(+8%)로 마감하는 등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2024년 3분기 실적 발표 후 주가가 약 10% 급등하며 시가총액 1조 달러를 돌파했습니다.
AI 반도체 수요 증가에 힘입어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4년 3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하고, 순이익이 54% 급증하는 등 실적 호조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들로 인해 2024년 주가는 전반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AI 산업의 성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움직이고 있습니다.
첨단 공정 기술과 시장 지배력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7나노 급 이하 첨단 공정의 매출 비중이 69%에 달하는 등 기술적 우위가 주가에 반영되고 있습니다.
주가 전망
2024년 11월 15일 기준 187.13달러를 기록하고 있으며 현재 목표주가는 236.99로 상향되었습니다.

4분기 매출 가이던스를 261~269억 달러로 제시되고, 연간 매출 성장률도 20% 중반에서 30%로 상향되었습니다. 전문가들은 주가가 향후 12개월 동안 긍정적인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마치며
이 기업은 여전히 AI와 고성능 컴퓨팅(HPC)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장기적인 수익성을 위해 대규모 설비 투자와 기술 혁신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TSMC의 기업분석을 하고, 주가와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 부동산 투자전략 4편) 부산 핵심 지역 한눈에 보기
- 부동산 투자 전략 3편) 경기도 어디에 투자하면 좋을까? 남양주 하남 고양 수원 용인 화성
- 부동산 투자 전략 2편) 서울의 진짜 가치는 어디서 나올까?
- 부동산 투자 전략 1편) 어디에, 어떻게 투자해야 할까? 정책 변화 알아보기
- 알리페이 현명하게 사용하기 충전 수수료 환불 배달 결제 오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