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온시스템이 최근 주가가 하락세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최근 한국타이어에 인수가 확정이 되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인수에 관해 자세히 알아보고, 이 기업의 정보와 주요사업, 연봉, 매출과 관련한 재무현황을 살펴보고, 주가의 흐름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한온시스템(Hanon Systems) 기업정보
이 기업은 자동차 열 관리 시스템과 관련된 부품을 주로 생산하는 글로벌 자동차 부품 회사입니다. 1986년 한국에서 설립되어 처음에는 만도기계(현 만도)의 계열사로 출발했으며, 현재는 국내를 본사로 두고 전 세계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에게 부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 정식 명칭: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영문: Hanon Systems Co., Ltd.)
- 업종: 공기 조화장치 제조업
- 설립: 1986년 (당시 명칭: 한라공조)
- 상장: 코스피 시장 (종목코드: 018880)
기업 연혁
설립 이후 여러 차례의 소유권 변경과 합병을 거치며 성장해왔습니다. 초기 한라그룹의 계열사로 시작했지만, 외환위기를 거치며 외국 기업의 소유가 되었고, 이후 다시 국내 기업에 인수되는 등 복잡한 소유 구조 변화를 겪었습니다. 지속적인 사업 확장과 기술 개발을 통해 글로벌 자동차 부품 기업으로 성장했으며, 최근에는 전기차 관련 기술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새로운 인수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또 다른 변화의 기로에 서 있습니다.
연도별 연혁
연도별로 회사의 변화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1986년:설립
- 한라그룹의 만도기계와 미국 포드사가 50:50 합작으로 ‘한라공조’를 설립하였습니다.
1998년: 소유권 변경
- 외환위기로 인한 한라그룹 부도로 포드 산하 비스테온사 계열로 편입됩니다.
2011년
- 터키 법인(게브제), 현대기아차로부터 5스타 품질 인증서 획득합니다.
- 환경부로부터 ‘최우수 녹색기업’으로 선정됩니다.
2012년
- 인도 첸나이 현대기아차로부터 ‘최우수 협력사상’ 수상하였습니다.
- 평탱 공장, 컴프레서 5천만 대를 생산합니다.
- HVAC 소형화 및 연료전지 자동차용 냉각 팬 모듈로 신기술(NET) 인증서 획득합니다.
2013년: 합병 및 사명 변경
- 포드의 경영 악화로 비스테온의 공조부문과 한라공조가 합병합니다.
- ‘한라비스테온공조’로 사명을 변경합니다.
- 비스테온이 전 세계 공조 관련 회사들을 합병하여 규모가 확대됩니다
- 메탈 씰 피팅, 오토모티브뉴스로부터 PACE 어워드 수상
- 인도 비와디 법인, 우수 경영상 수상
- 실시간 CO2 감지를 통한 차 실내 공기질 개선 제어 및 전기차를 위한 HVAC Smart Intake Door기술 신기술(NET) 인증서 획득
2014년: 새로운 인수
- 한앤컴퍼니와 한국타이어 컨소시엄이 비스테온 지분 69.99%를 인수하였습니다.
- 인수 금액은 36억 달러(약 3조 9400억원)이며, 지분 구조는 한앤컴퍼니 50.5%, 한국타이어 19.49% 입니다.
- 연료 전지 차량을 위한 원심성 에어 컴프레서로 IR52 장영실상 수상합니다.
- 쿠퍼스탠다드로부터 열 관리 및 배기(thermal & emissions) 사업부 인수하였습니다.
- 평택 공장, 기후변화경쟁력 우수 기업 선정됩니다.
- 북경 현대모비스로부터 2014년 우수 협력사로 선정됩니다.
- 신기술(NET) 인증서 획득: 혁신적인 전기자동차용 히트 펌프 시스템, 연료 전지차를 위한 고압 냉각 팬 모듈을 개발하였습니다.
2015년: 사명 변경
- ‘한온시스템’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한라그룹 색채를 완전 제거하였습니다.
- 전기자동차용 고효율 히트 펌프 시스템으로 IR52 장영실상 수상합니다.
- 한앤코오토홀딩스로 대주주 변경, 한온시스템으로 사명 변경합니다.
- 전기자동차용 ‘smart intake-door 제어 시스템’으로 IR52 장영실상 수상합니다.
2016년
- 한국에 새로운 환경풍동실(climatic wind tunnel) 준공합니다.
- 포브스(Forbes)로부터 ‘아시아 50대 유망 상장 대기업’ 선정됩니다.
- 차량 내부 공기 정화 기술과 원심식 에어 컴프레서로 신기술(NET) 인증서 획득합니다.
- 트리플 존 HVAC로 IR52 장영실상 수상합니다.
- 중국 상하이에 엔지니어링 센터 오픈하였습니다.
2017년
- 평택공장의 컴프레서 포드 ‘World Excellence Award’에서 우수품질상 수상합니다.
- 현대자동차 그룹으로부터 ‘최우수 제품 개발 파트너’ 선정됩니다.
- 환경부로부터 ‘최우수 녹색기업’으로 지정됩니다.
- 46회 KCCP(Korea Commission for Corporate Partnership)에서 성장 지수 ‘우수’ 획득합니다.
- 중국에 2개의 합작투자 법인을 설립하였습니다.-충칭의 CSGC(China South Industries Group Corporation), 장춘의 FAWER Automotive Parts Limited Company
- 차량용 복합 열원 에어컨 시스템(water-air cooled condenser) 및 실내 이산화탄소 제어 공조시스템(vehicle carbon dioxide sensing solution) IR52 장영실상 수상합니다.
2018년
- General Motors의 ‘올해의 협력사’로 선정됩니다.
- 포드 ABF(Aligned Business Framework) 전략적 협력사 지원 프로그램에 선정됩니다.
- FCA로부터 캐나다 법인의 품질 우수상 수상합니다.
- 한국지속경영평가원과 한국경제신문 주최 2018년 고객감동경영대상 수상합니다.
- 2018년 대한민국 100대 기업에 선정됩니다.
- 국제비즈니스 대상 홍보영상 기술 부문에 공식홍보영상 Gold Stevie® Award 수상합니다.
- IATF 16949 인증 획득하였습니다.
- 대표집행임원 변경됩니다.
2019년: 사업 확장
- 세계 3대 자동차 부품회사인 캐나다 마그나인터내셔널의 유압제어사업부문(FP&C)을 약 12억 3,000만달러(한화 1.38조원)에 인수하였습니다.
- 이후 신규 고객사 확보 및 제품의 다양화와 함께 연간 매출 7조원대 기업으로 성장하였습니다.
- 현대자동차로부터 DFSS의 상생협력상 수상하였습니다.
2020년: 기술 인증
- 전기차용 수랭식 실외기 NET 인증 획득하였으며, 신기술 인증(NET, New Excellent Technology)에 인증한 기술은 산업기술보호법에 따라 산업기술로 보호를 받으며 현대자동차 아이오닉에 탑재되었습니다.
- 제너럴모터스(GM) 2019년 올해의 협력사로 선정되었습니다.
- 평택공장 컴프레서 누적생산 1억대 돌파합니다.
2021년: 재무 활동 및 사업 확장
- 3월: 한앤컴퍼니가 한온시스템을 담보로 한온시스템의 지분을 인수하기 위해 1조 7200억 원을 대출받았고, 리파이낸싱에는 NH투자증권, 신한은행, 하나은행 등 기존 대주들도 참여했습니다.
- 5월: 일본 자동차 부품사 케이힌의 체코와 멕시코 및 미국 일부 지역의 콘덴서 사업을 인수하였습니다. 이로 인한 매출증가는 연간 600~700억원 규모입니다.
- 6월: 한앤컴퍼니의 매각 선언 이후 인수 합병 절차를 진행하였습니다. 그러나 매각 예정가가 7조원이 넘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자 인수를 노리던 주요 기업들이 이탈하면서 매각 작업에 난항을 겪었습니다.
- 11월: 경주 공장을 준공하고, 전기차 열관리 시스템 부품을 생산하기 시작하였습니다.
2022년: 재무 활동
- 4월: 베이징 법인 영업권 178억 원의 영업권 전액을 모두 손상처리하였습니다. 이는 회계를 담당하고 있는 삼일회계법인은 베이징법인의 영업권 손상평가를 핵심 감사 사항으로 판단해 2년 연속으로 지목해왔는데, 이를 손상처리한 것이었습니다.
- 9월: 2,500억 원 규모의 공모채 발행 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수요예측이 잘 반응할 경우 최대 4,000억 원까지 증액할 수 있으며, 신규설비 투자와 마그니 M&A 등으로 인한 자금압박이 영향으로 보입니다.
2024년: 새로운 인수 가능성
- 5월: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의 인수 가능성에 대한 보도가 제기되었습니다.
- 인수가 이루어질 경우 예상 지분 구조는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50.53%, 한앤컴퍼니 22.73% 를 가지게 되며, 2대 주주가 될 예정입니다.
노조파업 사태(2023년)
2023년 주목할 만한 노사 갈등이 발생했습니다. 사무직 직원들은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파업에 돌입했습니다. 이는 회사 내 인력 유출 문제가 심각해졌다는 인식에서 비롯되었습니다. 2022년부터 2023년까지 약 100명 이상의 과장급 사무직 직원들이 회사를 떠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1. 노사 협상 과정
노사 양측은 인력 이탈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평소보다 일찍 2월부터 임금 협상을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9일간의 협상에도 불구하고 임금 인상폭에 대한 합의점을 찾지 못했습니다. 노조 측은 사무직 초봉이 수년간 동결되어 있어, 승진 후에도 동종 업계 대비 낮은 연봉을 받게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2. 파업 진행 및 결과
노조는 2개월간 파업을 진행했습니다. 6월, 블라인드 앱에 파업이 실패했다는 내용의 글이 게시되었습니다. 이 글에 따르면, 정년퇴직자와 촉탁직 직원들이 야간 7시간 근무로 주간 2교대를 대체하며 생산 효율을 2배로 높였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노조가 놀라 파업을 중단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
3. 논란 및 의문점
일부에서는 촉탁직과 정규직 간의 생산성 격차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인 생산량은 건강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 결정되므로, 실제 상황은 명확하지 않습니다.
노조의 근무 태도, 회사의 보상 정책, 또는 다른 생산 방식 등 다양한 가능성이 제기되었습니다.
4. 파업 종료
6월 21일 기준, 생산직과 사무직이 함께 참여한 파업이 노사 단체교섭을 통해 종료되었습니다. 최종 합의안에 대해 조합원 찬반 투표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목표했던 사무직 임금 인상 수준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이는 일반적인 노사 협상 과정의 일부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사건은 한온시스템의 내부 문제와 노사 관계, 그리고 자동차 부품 산업의 현실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한온시스템 연봉(2024년 기준)
2011년 국내 자동차업계 평균연봉 1위. 2013년 국내 평균연봉 6위였습니다.
2024년 현재 평균 연봉은 약 1억 375만원에서 1억 376만원 사이로 보고하고 있습니다. 이는 2023년 기준으로, 제조/화학업 평균 대비 114.18% 높은 수준이라고 합니다. 또한, 인크루트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입사자의 평균 월급은 616만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정보들을 종합해볼 때, 이 기업의 평균 연봉은 약 1억 375만원 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주요사업영역
주력 제품은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시스템입니다.
난방과 냉비및 환기
- 난방, 냉방 및 환기: HVAC 제품은 최적화된 열 교환기를 전세계 표준화된 부품에 적용, 편안함과 비용 절감을 위한 고객 맞춤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최신 설계 방식 및 툴을 활용하여 구축된 글로벌 생산 설비와 제품 개발 시간 단축으로 편의성 및 비용 효과 제고 등과 같은 전세계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며, 기존 HVAC 제품을 비롯하여 초슬림 HVAC, SAP HVAC 등 혁신적인 제품에 이르기까지 HVAC의 다양한 제품을 개발, 생산하고 있습니다.
- 울트라 플랫 HVAC: 초슬림 HVAC시스템은 차량 바닥과 측면 공간을 최대로 활용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차량 실내의 더 넓은 공간 확보를 위해 운전석의 전면 재설계를 통해 개발된 초슬림 HVAC는 차량 실내 공간의 효율화뿐만 아니라 뒷좌석 공간의 안락함과 쾌적한 실내공기를 제공합니다.
- 고효율 Blower Scroll: 고효율 블로어 스크롤은 효율을 개선하고 전력 소비를 13~30% 줄이면서도 동일한 공기 흐름을 제공하는 업계 최초의 솔루션으로 소음, 진동 및 NVH 수준을 1~3dB(A) 낮추었습니다. 특허를 받은 이 솔루션은 대량 생산을 통해 대형 HVAC에 비해 더 작은 패키지로 동등하거나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하는것이 입증되었으며 내연기관, 하이브리드, 전기 및 자율 주행 차량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지능형 공기 질: 차량 실내 열관리를 넘어, 공기질 개선을 포함한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제공합니다. HVAC 모듈에 결합되거나 개별적으로 통합되는 공기질 개선 솔루션 제품은 탑승자에게 집과 같은 편안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압축기
에어컨 장치의 핵심 부품으로 사람으로 치면 심장과도 같은 역할을 합니다. 자동차엔진 동력으로 작동되고 냉매를 흡입, 압축, 순환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는 이 컴프레서는 증발기에서 발생한 저온저압 가스 상태의 냉매를 압축해 고온고압 상태의 가스상태로 전환시켜 응축기로 보내는 기능을 합니다. 고정형(HS), 가변형(VS), 로터리 석셔 벨브형(RS) 등 세 가지 타입의 컴프레서를 생산하고 있으며 친환경 신기술로 개발한 전동 컴프레서도 생산하고 있습니다.
유체수송
냉매 운반 시스템은 냉매 라인, 냉각수 라인, 변속 오일 쿨러 라인, 축압 탱크, 냉매 저장 탱크, 내부 열 교환기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이 외에도 자동차, 트럭, 전기 하이브리드 차종의 엔진룸과 하부 장착용 제품, 냉매의 외부 유출 방지 기술로 특허를 받은 메탈 실피팅이 있습니다.
제어장치
온도 제어기는 HVAC 시스템 제어를 위한 자동, 수동 방식의 전후방 온도 제어 기술을 적용하였습니다. 최신부품과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표준화를 통해 비용 절감, 고품질, 사용자의 편의성 개선, 새로운 HMI(Human-Machine Interaction) 솔루션, 개발 기간 단축 등의 시장의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 혁신적인 제품이 있습니다.
이오나이저
국내 기술로 개발된 클러스터 이온 발생기 CLIOGEN은 에어컨과 히터 가동 시 발생하는 냄새를 말끔히 제거해주며, 송풍기의 증기, 세균 및 부유균을 90% 이상 제거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해 줍니다. 클러스터 이온을 활용한 공기정화장치는 지난 2009년 IR52 장영실상을 수상해 제품의 우수성을 인정받았으며 현재 현대기아차의 제네시스, 그랜저TG, YF소나타 등의 고급 차량에 적용됩니다. 한편, 에어필터는 인체에 해로운 0.3㎛ 이상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승객 및 운전자에게 신선한 실내 공기를 제공해 줍니다.
냉각모듈
- 냉각 모듈: 쿨링 모듈은 라디에이터, 컨덴서, 팬 쉬라우드로 구성이 됩니다. 에어컨 시스템에 필요한 조립 공수 및 시간을 단축시켜줄 뿐만 아니라, 각 모듈 구성품의 엄격한 품질 관리를 통해 최적의 성능을 확보합니다.
- 콘덴서: 자동차 엔진의 전면에 위치한 컨덴서는 컴프레서에서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를 냉각하여 액체 형태로 바꾸어줍니다. 컨덴서는 별도로 장착되거나 혹은 쿨링 모듈에 탑재도 가능하게 설계되었습니다.
한온시스템 시장입지
글로벌 입지
다국적 기업으로서 광범위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21개국에 걸친 사업장 보유
- 51개 생산 공장설립
- 23개 엔지니어링 시설확보
- 3개의 연구소 (한국, 독일, 미국) 보유
- 약 22,000명의 직원근무
시장위치
- 자동차 공조/열관리 시장에서 세계 2위의 점유율 유지중입니다.
- 전 세계 자동차 부품사 중 37위입니다.
- 국내 최대 규모의 자동차 부품사 (현대차그룹 제외)로 자리매깁 하였습니다.
주요 거래기업
현재 다양한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를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습니다.
현대-기아차, 포드, 폭스바겐, GM, 피아트크라이슬러, 벤츠, BMW, 테슬라 등과 파트너쉽을 맺고 있습니다. 특히 현대차 그룹과의 긴밀한 관계 덕분에 안정적인 매출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재무현황

2020년
- 매출액: 68,728억원
- 영업이익: 3,158억원
- EBITDA: 8,233억원
2021년
- 매출액: 73,514억원
- 영업이익: 3,258억원
- EBITDA: 8,512억원
- 당기순이익: 713억원
2022년
- 매출액: 86,277억원
- 영업이익: 2,566억원
- EBITDA: 8,345억원
- 당기순이익: 179억원
2023년
- 매출액: 95,593억원
- 영업이익: 2,773억원
- EBITDA: 8,973억원
- 당기순이익: 423억원

주요 재무 지표 변화(2020년~2023년)
- 매출액: 2020년부터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영업이익: 2020년과 2021년에 비해 2022년과 2023년에 다소 감소했으나, 2023년에는 소폭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 EBITDA: 2020년부터 2023년까지 대체로 8,000억원 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소폭 상승했습니다.
- 당기순이익: 2021년 713억원에서 2022년 179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가 2023년 423억원으로 다시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 재무구조: 2023년 말 기준 자본총계는 2조 5,153억원, 부채비율은 268.5%로 나타났습니다.
2024년 (1분기)
- 매출액: 24,046억원
- 영업이익: 653억원
- EBITDA: 2,286억원
2024년 (2분기)
- 매출액 2조 5,600억원이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약 5.4% 증가한 수치입니다. 분기 최대이자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716억원이며 전분기 대비 9.6%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전년 동기 대비 50% 감소했습니다.
- 지배주주순이익은 -312억원으로 적자 전환되었으며, 2024년 상반기 누적 매출: 4조 9,645억원입니다.
- 수주 현황은 2분기 수주 1.25억 달러,재수주 1.08억 달러, 신규수주 0.17억 달러 (xEV 비중 2Q 누적 44%)를 기록했습니다.
24년 2분기 재무상태
- 2분기 말 기준 순차입금: 3.79조원
- 부채비율: 274%
- 상반기 순이자비용: 1,140억원
- 회사채 기준 이자율: 4% 중반
- 영업이익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는 전년도 높은 실적에 따른 역기저효과와 글로벌 전기차 판매 둔화가 지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회사는 하반기에 실적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24년 연간 매출이 약 10조원 수준으로 전년 대비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한국타이어 인수
이번 인수로 한국앤컴퍼니그룹(옛 한국타이어그룹)은 자산 총액 26조원 규모의 재계 30대 그룹으로 도약할 전망이지만, 실제 성과는 앞으로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인수 결정
한국타이어는 2024년 10월 이사회를 통해 한온시스템 인수를 최종 결정했습니다.
인수 조건
- 한앤컴퍼니가 보유한 한온시스템 지분 23%를 주당 1만원에 매입합니다.
- 총 인수 금액은 1조2277억원입니다.
- 추가로 6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합니다.
지분 구조 변화
인수 후 한국타이어의 한온시스템 지분은 54.77%가 됩니다.
인수 목적
- 한국타이어는 이번 인수로 종합자동차부품그룹으로 도약하려는 계획입니다.
- 타이어, 배터리에 이어 자동차 열관리 시스템 분야까지 사업 영역을 확대합니다.
시너지 기대
- 양사의 기술력, 공급망 등에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 신차용 부품 사업에서 완성차 브랜드와의 파트너십 확대를 목표로 합니다.
우려사항
- 인수 발표 이후 양사의 주가가 하락하는 등 시장의 반응은 부정적입니다.
- 투자 대비 시너지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한온시스템의 주요 고객인 현대차그룹과의 관계 변화 가능성도 우려됩니다.
향후 과제
- 한온시스템의 수익성 개선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 시장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실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야 하는 과제가 있습니다.
한온시스템 주가
2020년-2022년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며, 일반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과 자동차 산업의 변화 등이 주가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최근 주가 변동추이
1. 전반적인 하락 추세
2023년 5월 중순 약 9,500원대에서 거래되던 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2024년 초에는 6,500원대까지 하락했습니다.
2. 주요 변동 시점
- 2023년 8월 초: 8,300원대까지 하락
- 2023년 8월 중순: 9,500원대로 반등하였으며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의 한온시스템 인수 계획이 발표된 것이 주가에 영향을 미친것으로 보입니다
- 2023년 10월 중순~말: 급락세를 보이며 6,800원대로 하락
- 2023년 11월 이후: 7,000원 안팎에서 등락을 거듭함
최근 주가
5월 7일: 한온시스템 주가가 6,800원으로 52주 신고가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의 인수 발표 직후로 보입니다.
5월 7일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기 시작했습니다.
10월 24일: 3,785원으로 하락했습니다. 이는 5월 7일의 신고가 대비 약 44% 하락한 수준입니다.
투자정보
- 시가총액: 2조 204억원
- 시가총액순위: 코스피 149위
- 상장주식수: 533,800,000
- PER: 39.63
- 12M PER: 12.84
- 업종 PER: 22.93
- PBR: 0.85
- 배당수익률: 8.35%

24년 주가 하락원인
- 높은 차입금과 부채비율로 인한 재무 건전성 우려.
- 글로벌 전기차 판매 둔화 등 자동차 산업의 변화.
- 인수 과정에서의 불확실성.
- 원가 상승 및 수익성 악화
-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의 가격 인하 압력
향후 전망
증권사들은 대체로 2024년 하반기부터 EV 수요 개선과 원가 정산 등으로 실적 개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비용 부담과 수요 부진으로 인해 주가 반등이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종합적으로, 한온시스템의 주가는 최근 6개월간 뚜렷한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현재는 4,000원 이하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향후 실적 개선과 EV 시장 회복 여부가 주가 반등의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마무리
이 기업은 전기차 캐즘 여파에도 내연기관 차량용 상품의 볼륨 확대, 하이브리드 차종 열관리 시스템 매출 증가로 하반기 수익성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온시스템의 기업 연혁과 재무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타이어 인수 관련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 기업의 주가와 최근 주가하락의 원인에 대해 분석하고 앞으로의 전망을 예측해 보았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