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페타시스 국내에서 전자제품의 핵심부품인 인쇄회로기판(PCB)을 전문으로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기업에 대한 개요와, 재무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최근 제이오 인수설과 유상증자에 대한 금감원의 제동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며, 주가 및 향후 전망까지 상세히 분석했습니다.
이수페타시스 기업 정보
개요: 어떤 회사인가?
이수그룹에 소속된 계열사로, 산업용 인쇄 회로 기판(PCB) 제조에 전문성을 갖춘 기업입니다. Capacitor(콘덴서), Resistor(저항기)와 같은 수동소자를 내장한 고다층 MLB(Multi Layer Board)를 제작하며, 이러한 기술을 활용해 임베디드(Embedded) PCB 환경에 최적화된 친환경 Green PCB를 개발하여 첨단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사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에 위치하고 있으며, 국내를 넘어 해외 시장에서도 활발히 활동 중입니다. 미국 현지 생산 및 판매 법인을 운영하며, 중국 후난 지역에 있는 이수페타시스후난 법인을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 장비와 서버용 PCB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특히 우주항공 및 슈퍼컴퓨터와 같은 최첨단 분야에서도 PCB 기술력을 발휘하며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기업 연혁
2008년에는 세계적인 IT 기업인 Cisco로부터 ‘올해의 공급업체(Supplier of the Year)’로 선정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고, 이후에도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고객 요구에 부응하고 있습니다. 2011년에는 초 고다층 PCB 부문에서 지식경제부가 선정한 세계 일류상품에 이름을 올리며 글로벌 초고다층 PCB 시장의 선두주자로 자리 잡았습니다. 최근에는 2024년 6월, PCB 판가 인상과 외국인 투자자들의 활발한 참여로 주가가 급등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집중시키기도 했습니다.
재무현황 분석(실적)
2024년 재무 현황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매출 및 성장세
2024년 3분기 기준으로 매출액은 6,108 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7% 증가했습니다. 영업이익은 764 억원으로 95.4% 증가해 매출 성장률을 상회하는 수익성 개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과거 연간 기준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2020년: 3,932 억원
- 2021년: 4,696 억원 (19.4% 증가)
- 2022년: 6,429 억원 (36.9% 증가)
- 2023년: 6,753 억원 (5.0% 증가)
2024년 3분기 실적(9월 말 기준)
2024년 3분기 실적을 보면 매출액 2,064억원, 영업이익 259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4.2%, 97.7% 증가했습니다.
- 매출액: 6,108 억원 (전년 동기 대비 21.7% 증가)
- 영업이익: 764 억원 (전년 동기 대비 95.4% 증가)
- 당기순이익: 541 억원 (전년 동기 대비 37.0% 증가)
1. 수익성 지표
- 영업이익률: 3분기 기준 12.5%로, 전년 동기 7.9%에서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 매출총이익률: 3분기 기준 17.7%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 재무상태
- 총 자산: 6,369 억원
- 총 부채: 3,263 억원
- 자기자본: 3,106 억원
- 부채 비율은 105.1% 로, 재무 안정성이 개선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성장 동력
1. 고부가가치 제품 확대: G사 향 고부가 스위치 매출 비중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2. 신제품 양산: AI 가속기 신 모델이 2024년 5월부터 양산되면서 판가 상승 및 수익성 호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3. 신공장 가동: 4공장 가동 효과가 온기로 반영되면서 생산 능력이 확대되었습니다.
실적 전망
고부가가치 제품 매출 확대와 신 공장 가동으로 하반기에도 실적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미국 법인의 구조조정 이후 하반기 흑자 전환이 예상되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의 추가적인 개선이 기대됩니다. 2024년 연간 예상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매출액: 8,650 억원 (전년 대비 28.1% 증가)
- 영업이익: 1,262 억원 (전년 대비 103% 증가)
- 순이익: 985 억원 (전년 대비 106.5% 증가)

제이오 인수설
인수 계획 발표
2024년 11월 8일, 탄소나노튜브(CNT) 제조업체인 제이오의 지분 인수를 위해 55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공시했습니다. 이 중 2998억원을 제이오 인수에 사용할 계획이었습니다.
인수 방식
인수를 통해 최종적으로 제이오 주식 1336만주(지분율 33.3%)를 확보할 예정이었습니다. 인수 계획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 기존 최대주주 강득주 대표이사의 지분 575만주를 1581억원에 매수
-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신주 546만주를 997억원에 취득
- 42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 인수
인수 목적
이번 인수를 통해 “사업을 다각화하고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함”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최근 상황
- 2024년 12월 2일, 금융감독원이 이수페타시스의 유상증자 증권신고서에 대해 보완을 요구하면서 일정에 변동 가능성이 제기되었습니다.
- 12월 3일 현재, 이 기업에서는 “제이오 인수 포기와 관련해 현재 확정된 바 없다”고 공시했습니다. 회사 측은 “확정되는 시점 또는 1개월 이내에 재공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인수 재검토 이유
제이오 인수 포기와 관련해서는 아직 공식적으로 확정된 바가 없습니다. 그러나 인수 계획에 논란이 있었고, 이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재검토 및 인수포기설의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주주 반발: 인수 계획 발표 후 주가가 급락하면서 주주들의 강한 반발이 있었습니다.
2. 증권가의 부정적 반응: 반도체 기판 제조업체인 이수페타시스가 이차전지 소재 회사의 지분을 인수하기 위해 대규모 자금을 조달하려는 것은 사업적 시너지가 부족하다는 의견을 제시하며 회의적인 시각을 보였습니다.
3. 그룹 내 중복: 이수그룹 내에 이미 이차전지 관련 계열사인 이수스페셜티케미컬이 존재한다는 점이 지적되었습니다.
4. 유상증자 규모: 55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는 기존 발행 주식 수의 31.8%에 달하는 큰 규모였습니다.
5. 금융감독원의 제동: 금감원이 이수페타시스의 유상증자 증권신고서에 대해 보완을 요구하면서 일정에 차질이 생겼습니다.
이수페타시스 유상증자
이와 관련된 계획과 관련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규모 및 목적
- 총 규모: 5500억원
- 신주 발행: 2010만3080주
- 주당 발행가: 2만7350원
- 목적: 시설투자 및 제이오 인수를 위한 자금 마련을 위합니다.
자금 사용 계획
시설자금: 2500억원 (1~4공장 증설 및 신규 5공장 신설)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2998억원 (제이오 인수)
진행 상황 및 논란
- 2024년 11월 8일: 유상증자 계획 발표하였습니다.
- 11월 18일: 증권신고서 제출하였습니다.
- 12월 2일: 금융감독원에서 정정신고서 제출 요구하였습니다. 이유는 증권신고서 형식 미비, 중요사항 기재 누락 또는 불명확한 표시 등이었습니다.
- 12월 3일 현재: 증권신고서 효력 정지 상태입니다.
시장 반응
- 주가 급락: 발표 다음 거래일(11월 11일) 22.7% 하락하였습니다.
- 증권가 반응: “이해할 수 없는 결정”, “투자 리스크 유발” 등 부정적 평가를 보였습니다.
- 주주들의 반발: 대규모 유상증자로 인한 주식가치 희석 우려됩니다.
금감원의 제동
이번 유상증자는 규모가 크고 제이오 인수와 연계되어 있어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금감원의 제동으로 향후 진행 방향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입니다.
- 기업은 3개월 내 정정신고서 제출 필요합니다.
- 제출하지 않을 경우 유상증자 철회로 간주됩니다.
- 제이오 인수 포기 가능성에 대한 언론의 보도가 있으나, 회사 측은 “확정된 바 없음”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수페타시스 주가
이 기업의 5년간의 주가 흐름과 주요 이슈를 연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 시가총액: 1조 6,602억원
- 시가총액순위: 코스피 166위
- 상장주식수: 63,246,419
- PER/ lEPS: 5.35배/ 4,911원
- 배당수익률(l2023.12): 0.38%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과 IT 산업 영향
1. 주가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시장 전반적으로 변동성이 컸으며, IT 및 PCB(Printed Circuit Board) 관련 수요가 급격히 변화하였습니다.
- 5G 통신망 구축 및 서버 산업 확대의 기대감으로 일정 부분 주가가 견조한 흐름을 보였으나, 시장 불안정으로 횡보세를 유지하게 됩니다.
2. 주요 이슈
- 5G 관련 인프라 투자 확대되었습니다.
- 서버 및 데이터 센터 수요 증가로 PCB 시장 성장 기대주로 떠오릅니다.
- 팬데믹 초기 공급망 문제로 일부 생산 차질 발생하였습니다.
2021년: 5G 및 전기차 수혜
1. 주가
- 5G 상용화와 전기차 보급 확대로 인해 PCB 관련 수요가 증가하며 주가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 특히, 전기차용 PCB 생산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주가가 한 단계 더 상승하였습니다.
2. 주요 이슈
글로벌 반도체 공급 부족 사태가 전반적인 IT 산업에 영향을 주었으나, PCB 수요는 꾸준히 유지하였습니다.
미국과 중국의 5G 경쟁이 본격화되면서 이수페타시스의 글로벌 시장 진출 기대감이 상승되었습니다.
2022년: IT 경기 둔화와 PCB 고부가가치화 전략
1. 주가
- 상반기까지는 상승세를 이어갔으나, 하반기 글로벌 경기 둔화와 금리 인상 여파로 주가가 조정 시기였습니다.
-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전환하면서 안정적인 매출 구조 확보에 주력하였습니다.
2. 주요 이슈
- PCB 고부가가치화 전략 강화, 서버 및 데이터센터용 PCB 공급이 확대되었습니다.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 및 공급망 이슈가 지속되었습니다.
-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통과로 전기차 산업의 지속 성장을 기대하게 되었습니다.
2023년: 전기차 및 AI 열풍 수혜
1. 주가
- 전기차 PCB 및 AI 관련 데이터센터용 PCB 수요 증가로 주가가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하였습니다.
- 특히, 하반기에는 글로벌 AI 열풍으로 서버 및 고성능 PCB 시장에서의 기대감이 반영되며 주가가 급등하였습니다.
2. 주요 이슈
AI 열풍으로 데이터센터 및 클라우드 관련 인프라 수요가 확대되었습니다.
이수페타시스의 전기차용 PCB 매출이 본격화 되었습니다.
미국과 유럽 시장 확대를 위한 글로벌 전략이 강화되었습니다.
2024년: 전환점과 도약의 시기
1. 주가
- 상반기 주가는 상승세를 이어가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였습니다.
- 하반기에는 글로벌 금리 인상 기조 완화 및 IT 경기 회복 기대감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하였습니다.
2. 주요 이슈
- AI, 6G 등 차세대 기술을 지원하는 PCB 개발을 착수하였습니다.
- 전기차와 데이터센터 수요의 안정적으로 확대되었습니다.
- 기업의 ESG 경영 강화 및 친환경 PCB 개발 발표를 하였습니다.

이수페타시스와 금감원
금감원의 인수 제동으로 인한 주가 영향
대규모 유상증자 철회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24년 12월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 거래일 대비 26.78% 상승한 2만675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는 이전에 투자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었던 대규모 유상증자가 철회될 가능성이 시장에 반영된 결과로 풀이됩니다. 아래 챠트는 발표 전 일주일의 주가 흐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향후 전망
금감원의 유상증자 승인여부에 따라 향후 주가의 변동성이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계획을 승인한다면, 신성장 동력 확보 기대감으로 주가가 반등할 가능성이 큽니다. 반대로, 금감원이 승인을 보류하거나 추가 조건을 부과하면, 시장의 우려가 지속되어 주가가 약세를 이어갈 수 있습니다. 제이오 인수와 관련된 추가적인 소식이 나올 경우, 시장의 반응이 변동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인수 성사 시 장기적으로는 주가 상승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투자자 대응 전략
1. 단기 전략
유상증자와 관련된 금감원의 최종 결정이 나올 때까지는 변동성 확대에 유의해야 합니다. 2024년 12월 현재 주가는 하방 압력을 받고 있으나, 기존 사업이 안정적이라면 단기 저점 매수 전략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2. 장기 전략
전기차 및 AI 산업의 성장성과 기업의 사업 다각화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본다면, 신사업 관련 불확실성이 해소된 후 장기 보유 전략이 유효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이 기업은 현재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도전과 재무적 안정성 사이에서 균형을 잡아야 하는 상황입니다. 제이오 인수 여부가 주가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투자자들은 회사의 추가적인 공식 발표와 금감원의 최종 결정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수페타시스의 기업개요와 재무현황, 제이오 인수설과 관련된 유상증자 및 금감원의 제동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리고 주가와 향후 전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최신 글